목록개발 (2)
Allbody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 국립보건원 * 연구 성과 인공지능이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개발 현장에 투입돼 약물 개발 일정을 대폭 앞당김. [연구 내용] 10년 이상 걸리던 약물 개발 대폭 단축 12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새로 개발된 AI 프로그램 ‘SUEDE’는 화합물을 디지털 방식으로 스크리닝하면서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최근 과학자들은 사람의 자리에 슈퍼컴퓨터, 로봇, 싱크로트론 등 인공지능을 통해 움직이는 장치들을 설치하고 신속하게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그 결과 최근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와 관련 비약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약물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빠른 속도로 약물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근긴장이상증(Dystonia)이란? 사경증이라도 불리며, 몸의 일부나 전신의 근육이 수축되어 뒤틀림을 유발하는 질병 [연구 소개] * 연구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대수 교수 연구팀 * 연구 성과 뇌 수술 없이도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발견 [연구 내용] ● 연구팀은 근긴장이상증 환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진다는 것에 주목함. ● 동물모델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유도하면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된다는 것을 확인. (세로토닌 : 기분과 감정을 조절하는 뇌신경전달물질) ● 세로토닌을 받아들이는 단백질(수용체) '5HT2A'와 결합하여 소뇌 신경을 흥분시키고 그 결과 근긴장이상증이 유발 ● '5HT2A' 수용체를 억제하기 위해 '볼리난세린(MDL100907)'을 발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