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원인 (6)
Allbody

개요 성인의 뇌 무게는 1.2-1.4kg에 지나지 않지만 인간의 모든 활동을 통합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그 중 뇌의 겉면을 둘러싸고 있는 대뇌피질은 두께가 4mm정도에 지나지 않으나, 부위에 따라서 감각, 운동, 언어기능을 포함한 고위 인지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뇌에 병이 발생하였을 때 그 증상은 병의 발생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의 언어기능은 대부분의 사람에 있어서는 좌측의 뇌에서 담당하게 됩니다. 특히 오른손잡이의 언어중추는 대부분 좌측 뇌에 치우쳐있고 왼손잡이의 경우에는 48~66%가 좌측 뇌에서 언어기능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어증은 언어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에 병이 발생하게 되어, 언어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정상적인 대화가 ..

개요 손목은 우리 신체 구조 중에서 가장 운동 범위가 넓은 부위 중의 하나이며, 손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의 힘줄(건), 손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과 운동에 관여하는 운동 신경, 손의 혈액 공급에 필요한 혈관 등이 팔에서 손목을 통해 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손등 쪽으로도 근육의 힘줄(건), 감각 신경, 운동 신경 및 혈관이 손목을 통과하여 지나가고 손바닥 쪽으로도 근육과 근육의 힘줄, 감각 신경, 운동 신경 및 혈관이 지나갑니다. 손등 쪽에서는 상기 구조물들이 넓게 퍼져서 손목 부위를 지나가는 반면, 손바닥 쪽에서는 상기 구조물들이 손목 부위에서 손바닥의 중심 부위에 뭉쳐서 지나가는데, 이 부분이 가장 좁아 구조물들이 손목에서 밀집되게 됩니다. 손바닥 쪽에서 이 구조물들이 손목을 지날 때 위에서..

개요 성대는 상피세포층, 결합 조직층, 근육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소리를 내거나 숨을 쉴 때 적절하게 움직여 발성과 호흡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성대결절은 성대 용종보다 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능성 음성질환 중의 하나로, 사춘기 이전의 남자 소아나 여자 성인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목소리를 남용하거나 무리한 발성 습관이 성대결절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성대결절은 성대 용종에 비해 흔히 성대의 양쪽에 대칭적인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작은 낭종이나 용종 등에 의해 한쪽 성대에 발생한 경우에는 이차적인 부드러운 용종 모양을 띄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질환의 발생 원인은 구조적, 기능적으로 다양하며, 이에 따라 치료도 다양합니다. 성대결절은 성대 점막의 결합 조직층..

개요 떨림은 몸의 일부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말하며 손에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흔히 수전증 또는 손 떨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떨림은 손뿐만 아니라 눈, 얼굴, 머리, 성대, 상체, 다리 등 몸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조금씩은 떨릴 수 있으며, 약물에 의하거나 갑상샘 기능 이상과 같은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본태성 떨림"이나 "파킨슨병"과 같이 뇌의 운동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떨림은 전 연령층에서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중장년 및 노년층에서 가장 흔하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더욱 흔하게 생깁니다. 일시적으로 생기기도 하며, 남녀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자세나 동작에 따라서 안정떨림, 활동-체위 떨림..

정의 수면장애란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포함하는 매우 폭넓은 개념입니다. 종류 수면장애는 환자가 보이는 증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1) 불면증 불면증은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고, 새벽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 수면부족 상태가 되어,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감, 졸음, 의욕상실 등의 결과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입니다.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평소 수면리듬이 약한 사람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수면리듬이 더욱 심하게 약화되고, 그 결과 잘못된 수면습관을 가지게 되면서 불면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후 심리적 스트..

개요 눈꺼풀에는 여러가지의 피부 부속기관이 있으며, 이 중 분비기관으로는 눈물층의 성분을 분비하는 짜이스샘(gland of Zeis), 마이봄샘(Meibomian gland)과 땀을 분비하는 몰샘(Moll’s gland) 등이 있습니다. 다래끼란 이러한 분비샘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정의 다래끼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조금은 다른 질환입니다. 1. 다래끼(hordeolum) 겉다래끼는 짜이스샘이나 몰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말하는 다래끼가 이에 해당합니다. 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의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속다래끼(맥립종)는 마이봄샘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합니다. 2. 콩다래끼(chalazion) 산립종이라고도 하며, 마이봄샘에 발생한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