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치료제 (5)
Allbody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메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팀 * 연구 성과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 30명의 심장 조직 샘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전체 연구 대상 중 4분의3의 심장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남아있는 것을 발견 [ 코로나19와 심장 질환과의 상관관계 발견 ] [연구 내용] ● 북미 병리학회 공식 학술지 모던 패솔로지(Modern Pathology)에 게재 ● 41명의 환자에게서 각각 20개 이상의 샘플을 채취해 총 1,000여개의 심장 조직을 대상으로 심장 염증, 심근염, 코로나19에 의한 심장 감염, 임상 특징, 실험실 측정 및 치료 간의 연관성을 분석 ● 코로나 10로 사망한 환자의 심장 조직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 발견 ● 코로나19와 심장 질환과의 놀라운 ..

[연구 내용] ● 자가포식 : 오래된 단백질을 분해하 새로운 영양소로 재활용하거나 해로운 단백질을 제거하는 자가 방어 기전 ( 청소 과정 ) 자가 포식의 방어기전 ● 신체 내 영양분 부족 or 병원균 침입 등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세포는 생존을 위해 내부 단백질을 재활용 하는 등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기전을 펼침 ● 자가포식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면 각종 질병, 불치병을 유발할 수 있다 자가포식과 당뇨병과의 관계 ● 췌장에서 자가포식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아밀로이드가 쌓여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생겨 당뇨병 유발 자가포식 연구로 인한 기대 ●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 ●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을 규명하고 자가포식 현상을 활성화하여 단백질 분해하고 ..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의 천 빙(Bing Chen)박사 연구팀 * 연구 성과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기능을 높인다는 걸 밝혀냄 [연구 내용] ● 영국, 남아공, 브라질반 변이의 공통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빠르게 퍼짐 ● 변이 바이러스는 모두 D614G라는 돌연변이가 생겼고,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가 달라짐 ●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을 관찰하여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기능을 높임을 밝힘 [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자 암호에서 아미노산의 염기서열이 바뀜 ] ● 코로나 백신을 새로 디자인할 때 D614G 돌연변이 코드를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 ● 신종 코로나의 세포 진입을 차단하는 치료제를..

[연구 소개] * 연구팀 : 한국뇌연구원 허향숙 박사 연구팀 & 경북대 의대 석경호 교수 연구팀 * 연구 성과 항암제 ‘이브루티닙'(Ibrutinib)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 효과를 발견 [연구 내용] ● 이브루티닙(Ibrutinib)은 암세포만 골라 사멸하는 특수 표적 함암제로 림프종 환자들에게 치료제로 사용되어왔고,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효능을 평가한 연구는 이전까지 없었다. ● 노화 과학 분야 학술지 '노화 세포(Aging cell)' 온라인판에 게시 이브루티닙의 효능 ● 알츠하이머의 핵심 병리 인자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과 타우 인산화를 모두 감소시키고 신경 염증을 완화 ● 신경돌기 생성을 촉진하고 장기 기억 향상을 유도 이번 연구는 향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서 이브루티닙 활용 ..

근긴장이상증(Dystonia)이란? 사경증이라도 불리며, 몸의 일부나 전신의 근육이 수축되어 뒤틀림을 유발하는 질병 [연구 소개] * 연구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대수 교수 연구팀 * 연구 성과 뇌 수술 없이도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발견 [연구 내용] ● 연구팀은 근긴장이상증 환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진다는 것에 주목함. ● 동물모델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유도하면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된다는 것을 확인. (세로토닌 : 기분과 감정을 조절하는 뇌신경전달물질) ● 세로토닌을 받아들이는 단백질(수용체) '5HT2A'와 결합하여 소뇌 신경을 흥분시키고 그 결과 근긴장이상증이 유발 ● '5HT2A' 수용체를 억제하기 위해 '볼리난세린(MDL100907)'을 발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