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asyPoint (33)
Allbody

볼프의 법칙(Wollff's Law) 독일의 해부학자 정형외과 의사 'Julius Wolff'에 업적과 교육 이후 명명 볼프의 법칙이란?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곳은 침착되고 낮은 스트레스를 받는 곳은 흡수된다' ( 스트레스 받는 곳은 '어? 더 단단해져야겠네?' 하고 더 합성을 많이합니다 ) ( 스트레스 덜 받는 곳은 '어? 덜 단단해도 되겠네?' 하고 흡수해버립니다 ) 그럼 스트레스 받게해서 더 단단하게 만들면 좋은게 아닐까?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뼈의 구조는 기능에 맞게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위 사진처럼 뼈겉돌기(osteophyte)가 형성될 경우, 주변 연부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움직임도 방해하고, 뒤쪽에 형성되면 신경을 압박할 수도 있습니다! ) 반대로,..

뼈(Bone) 매우 역동적인 구조 [ 뼈모세포 : 미네날염 침착 조율 & 바탕질과 아교질을 지속적으로 합성 ] (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열일하고 있어요 ) 신체활동 & 호르몬의 영향으로 반응 풍부한 혈액공급을 통한 역동적인 대사작용 [ 외·내적 스트레스에 반응으로 일정하게 재형성, 골절 후 회복에 관여 ] ( 뼈는 몸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이란 큰 역할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 관절과 연루된 뼈 재형성 & 회복 & 재생에 대해 월등한 능력을 가짐 [ 긴 뼈의 끝부분은 체중지지면을 통해 여러방향에서 압박력을 받음 ] 힘의 전환 연골밑 뼈 -> 갯솜뼈 -> 치밀뼈의 긴 축 [ 뼈가 갖는 구조적 형태의 장점을 활용을 위한 힘의 방향을 전환 ] ( 이렇게 외부&내부의 힘을 흡수하고 전달합니다! ) 출처 뉴..

섬유연골(Fibrocartilage) 치밀결합조직과 관절연골의 혼합 탄성과 충격 흡수 & 장력을 제공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적인 관절운동형상학적 움직임을 안내 힘&부하 분산 보조 ( 여러 방향에서의 힘과 압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이유지요! ) 유형 I 아교질의 다발과 중간 정도의 프로테오글리칸 분포 [ 척추원반, 관절테두리, 두덩결합, 턱관절, 반달연골 등 원반을 형성 ] ( 힘줄 부착점에서도 발견됩니다~ ) 신경 분포가 적어 통증이 유발되거나 고유감각에 참여하지 않음 제한된 혈액공급으로 윤활액 & 인접 혈관으로부터 영양물질의 확산에 의존 ( 바깥 가장자리는 직접적인 혈액공급 받아요~ ) ( 가장 안쪽 영역은 치유가 빈약하거나 거의 일어나지 않죠ㅜ ) * 적절한 영양 공급의 결핍으로 부분적으로 퇴행하여 기..

상피조직 기능에 따른 분류 덮개상피(Covering epithelium) 보호 흡수작용 몸의 표면과 속면을 덮어 보호 샘상피(Glandular epithelium) 분비작용이 왕성한 상피세포 내분비샘(endocrine gland) 관을 통하지 않고 직접 내분비물을 혈액이나 림프로 보냄 호르몬 생산, 분비하여 표적장기로 직접 운반 [ 난소, 부신, 뇌하수체, 부갑상샘, 고환 등 ] ( 내가 직접 분비할꺼다! ] 외분비샘(exocrine gland) 관을 통해 분비되는 샘 1) 분비물 양상 2) 분비물 성질 3) 샘의 배열 상태 3가지로 분류된다. 분비물 양상에 따른 분류 샘분비샘(merocrine gland) : 막의 손상없이 분비물 생성 [ 침샘, 이자샘 ] 부분분비샘(apocrine gland) : 세..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관절의 부하 지지면을 형성하고 있는 특수화된 형태의 유리연골 ( 관절을 이루는 인체 부위에 덮혀 있는 연골 ) 관절연골에는 연골막, 혈관과 신경이 없습니다! [ 손상되면 재생되는게 매우 어려워요ㅜ ] [ 소중히 다뤄야 됩니다~ ] * 연골막이 조직을 유지하고 치유하는 원시세포가 존재하여, 신속한 영양 공급과 혈관을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 연골세포는 주로 유형 II 아교섬유들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이 섬유들은 연골밑 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프로테오글리칸 복합체를 잡고 있어 물을 끌어당기는데, 이러한 작용이 관절연골의 단단함을 제공하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 섬유들이 복잡하게 연결되고, 물을 머금고 있어 부하에 충분히 견딜 수..

치밀결합조직(Dense connective tissue) 물결 모양의 유형 I 아교섬유 비율이 높고, 장력에 저항하는 조직 ( 느슨하게 있다 최대 길이까지 가면 높은 장력을 제공! ) 불규칙성 & 규칙성로 분류 불규칙성 치밀결합조직 어깨관절 & 엉덩관절의 관절주머니 [ 나선형 특성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장력에 저항 ] ( 팔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여야되잖아~ ) 규칙성 치밀결합조직 인대와 힘줄 [ 서로 평행하게 정돈되어 평행하게 신장될 때 가장 효율적 기능을 함 ] ( 각 관절에서 과한 범위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서지요! ) ( 무릎 펼 때, 발등이 허벅지 때리면 무섭겠죠,,) * 힘줄은 근육과 붙어있는 뼈 사이에서 큰 장력을 전달! -> 높은 장력을 가하게 되면 힘줄도 길어지게 되는데 이 탄력적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