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상세포 (3)
Allbody

[연구 소개] * 연구팀 :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 * 연구 결과 '수면 세포(sleeping cells)' 휴면 상태와 깨어나 전이암을 형성하는 원인 발견 *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게제 [연구 내용] ● 암세포는 치료 후 다른 조직으로 옮겨가 동면 상태로 생존할 수 있다 -> 암세포의 전이 형성을 탐지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는 이유 ● 인체 조직에서 암세포가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깨어나 전이암을 형성하는지를 확인 - 생쥐 모델과 인체 조직 표본을 사용하여 연구 ● 두 가지 세포 유형이 핵심 역할을 해 1.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s) : 비정상 or 감염된 세포를 죽이고 증식 속도를 늦추는 면역세포 - 휴면 암세포를 통제하는 역할 2. 성상세포(hepa..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 & 스페인 카스틸라-라만차대 연구팀 * 학술대회 실험 생물학(EB) [ 미국해부학회, 생리학회,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 조사병리학회, 약리학 및 실험요법학회 5개 학회 주관 ] * 연구 결과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뇌 및 척수 세포를 모두 감염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밝힘 [연구 내용] ● 성상세포가 코로나 19가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키는 경로임을 시사 [ 성상세포가 뉴런으로 영양분을 이동시키는 뇌의 주요 관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성상세포가 감염되면 바이러스를 많은 뉴런으로 쉽게 전달합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체 호흡기 시스템 중 ACE2 수용체의 표면 단백질에 달라붙어 감염시킴 -> 성상세포와 뉴런을 배양해 RNA 단백질 조사해서..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캘리포니아(샌프란시스코)대(USCF) 연구팀 * 연구 성과 별 모양의 뇌세포인 성상세포(astrocytes)가 동물의 수면 시간과 수면의 깊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힘 [연구 내용] ● 과학저널 '이라이프(eLife)' 발표 ● 성상세포를 조작하여 뇌세포들이 실제로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보여준 사례 ● 성상세포는 통합된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뉴런에서의 동기화된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 서파 유도(수면 시 뇌파) ] ● 실험 쥐를 통해 성상세포를 작동시키면 더 많은 서파 활동이 일어나 수면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 ● Gi와 Gq라 불리는 두 개의 분자를 포획해 실험 (Gi & Gq : 수면의 뚜렷한 측면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