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614G (1)
Allbody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의 천 빙(Bing Chen)박사 연구팀 * 연구 성과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기능을 높인다는 걸 밝혀냄 [연구 내용] ● 영국, 남아공, 브라질반 변이의 공통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빠르게 퍼짐 ● 변이 바이러스는 모두 D614G라는 돌연변이가 생겼고,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가 달라짐 ●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을 관찰하여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기능을 높임을 밝힘 [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자 암호에서 아미노산의 염기서열이 바뀜 ] ● 코로나 백신을 새로 디자인할 때 D614G 돌연변이 코드를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 ● 신종 코로나의 세포 진입을 차단하는 치료제를..
보건 의학
2021. 3. 19.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