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2 (관절연골) 본문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관절의 부하 지지면을 형성하고 있는 특수화된 형태의 유리연골
( 관절을 이루는 인체 부위에 덮혀 있는 연골 )
관절연골에는 연골막, 혈관과 신경이 없습니다!
[ 손상되면 재생되는게 매우 어려워요ㅜ ]
[ 소중히 다뤄야 됩니다~ ]
* 연골막이 조직을 유지하고 치유하는 원시세포가 존재하여,
신속한 영양 공급과 혈관을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 연골세포는 주로 유형 II 아교섬유들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이 섬유들은 연골밑 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프로테오글리칸 복합체를 잡고 있어 물을 끌어당기는데,
이러한 작용이 관절연골의 단단함을 제공하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 섬유들이 복잡하게 연결되고, 물을 머금고 있어 부하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죠! ]
관절연골이 하는 역할이 무엇일까요?
1. 뼈로 전해지는 압박력을 분산시켜 줍니다.
2. 관절면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킵니다.
[ 무릎 관절이 얼음이 얼음위에서 미끄러지는 마찰 계수보다 더 낮다네요.. 5~20배나! ]
관절 연골이 있기에, 체중 부하 운동에 의한 충격에도 손상 없이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스트레스만 전달됩니다.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관절연골의 구조와 역할에 대해 알고 나니,
관절 연골의 소중함을 또 느끼게 되네요
생활하다보면 관절 연골이 닳을 수도 있겠지만,
어떻게하면 최소화할 수 있을까요?
사람의 몸을 다루는 일 하실 떄
이러한 내용을 꼭 숙지하면 좋겠습니다!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4 (뼈 1) (0) | 2021.04.23 |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3 (섬유연골) (0) | 2021.04.22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1 (치밀결합조직) (0) | 2021.03.27 |
혈액투석 중 저혈압 부작용을 AI로 예측한다?! (0) | 2021.03.17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