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3 (섬유연골) 본문
반응형
섬유연골(Fibrocartilage)
치밀결합조직과 관절연골의 혼합
탄성과 충격 흡수 & 장력을 제공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적인 관절운동형상학적 움직임을 안내
힘&부하 분산 보조
( 여러 방향에서의 힘과 압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이유지요! )
유형 I 아교질의 다발과 중간 정도의 프로테오글리칸 분포
[ 척추원반, 관절테두리, 두덩결합, 턱관절, 반달연골 등 원반을 형성 ]
( 힘줄 부착점에서도 발견됩니다~ )
신경 분포가 적어 통증이 유발되거나 고유감각에 참여하지 않음
제한된 혈액공급으로 윤활액 & 인접 혈관으로부터 영양물질의 확산에 의존
( 바깥 가장자리는 직접적인 혈액공급 받아요~ )
( 가장 안쪽 영역은 치유가 빈약하거나 거의 일어나지 않죠ㅜ )
* 적절한 영양 공급의 결핍으로 부분적으로 퇴행하여 기능의 일부를 상실 *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섬유연골이 손상되면 재생이 정말 힘들죠,,
충격 흡수나 관절을 지지하는 기능이 있지만
정상적인 관절운동이 나타나지 않으면 손상이 더 가속화 되겠죠?
섬유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유지하도록
올바른 운동과 동작을 정확하게 배울 수 있길 바랍니다!!
반응형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4 (뼈 2) (0) | 2021.04.29 |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4 (뼈 1) (0) | 2021.04.23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2 (관절연골) (0) | 2021.04.05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1 (치밀결합조직) (0) | 2021.03.27 |
혈액투석 중 저혈압 부작용을 AI로 예측한다?! (0) | 2021.03.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