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알츠하이머(치매) 신약, 상용화 되나?! 본문

보건 의학

알츠하이머(치매) 신약, 상용화 되나?!

Allbody 2021. 4. 26. 22:19
반응형

 

 

[연구 소개]

* 연구팀 :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대 연구팀

* 연구 결과

알츠하이머 신약 상용화를 위한 제약사를 설립해 현재 신약 개발 진행 중

* 생명공학저널 'Cell' 발표

[연구 내용]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증상을 역전시키는 실험 약물을 개발

  -> 단백질 분해 or 재활용해 제거, 세포 세척 메커니즘을 활용한다고 합니다.

  -> CMA 결함 있는 타우 및 기타 단백질을 분해한다고 합니다.

 

● 알츠하이머 발병과 관련된 세포 세척의 감퇴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도 발생

  -> '보호자-매개-자가포식(CMA)'의 세포 정화 과정에 대한 것이라네요.

 

뉴런에서의 보호자-매개 자가포식(CMA). 손상된 타우 단백질(녹색) 분자를 호위하는 단백질 보호자(빨강색 원)가 세포의 리소좀(주황색)에 있는 LAMP2 수용체(파란색)에 도킹해 타우 단백질을 리소좀 내부로 밀어 넣어 분해시킨다. ©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 모든 신경퇴행성 질환은 환자의 뇌에서 독성 단백질 응집체가 발견

 

CMA와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 정립

   -> CMA가 없으면 기억 상실, 보행 장애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 CMA의 부재가 세포의 단백질 조절 능력을 심각하게 훼손시킨다고 하네요!

   -> 알츠하이머 환자의 CMA 활동 역시 크게 억제된다고 합니다.

 

 

* 벤처 제약사 설립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을 준비  -> 실험에서 신약을 통해 기억력과 우울증 및 불안 등이 개선되어 건강한 그룹과 거의 비슷해졌다고 하네요!

 

● 약물이 뇌 신경세포를 둘러싼 염증과 흠집을 내는 신경교증을 크게 감소시킴  -> 신경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을 감소시킨답니다!

 

 

 

 

출처

매체명(The Science Times)

보도일(2021. 04. 23)

김병희 객원기자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이언스타임즈(The SCIENCETIMES)] > 보건ㆍ의학

인터넷과학신문 "사이언스타임즈"

 

클릭하여 원문보기

 

 

알츠하이머(치매)와 관련된 신약 개발이 이제 상용화까지 왔네요!

뇌 질환에 관한 내용들을 종종 다루긴 했는데 이렇게 상용화가 되니

흥미롭고도 신기하고 대단하단 생각이 절로 드네요!

 

이번 연구가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고통 받는 분들에게 좋은 소식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