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관절운동형상학이란? 본문
반응형
관절운동형상학(arthrokinematics)
관절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
대부분의 관절면은 약간의 곡선이라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 오목면 & 볼록면 존재 ]
1. 볼록-오목의 관계는 관절의 일치성을 향상시킨다
2. 접촉력을 분산
3. 표면 면적을 증가
4. 뼈들 간의 운동을 안내하는데 도움
기본적 움직임
구르고(roll) / 미끄러짐(slide) / 회전(spin)
구르기와 미끄러짐의 다른점
구르기
한 관절면의 여러 점과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과 만남
( 동그라미의 빨간 점, 파란 점, 주황 점 여러 점이 다른 면의 왼쪽, 중앙, 오른쪽 각각 다르게 닿는중! )
[ 여러 점 & 여러 점 ]
미끄러짐
한 관절면의 한 점과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과 만남
( 동그라미의 빨간 한 점이 다른 면의 왼쪽, 중앙, 오른쪽 각각 다르게 닿는중! )
[ 한 점 & 여러 점 ]
스핀
한 관절면의 한 점과 다른 관절면의 한 점과 만남
( 동그라미의 빨간 한 점이 다른 면의 중앙 한 점과 닿는중! )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반응형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int) Stress - Strain Curve(응력 변형률 곡선)이란? (0) | 2021.01.14 |
---|---|
E.point) 운동역학이란? [ 힘(부하)의 방향 ] (0) | 2021.01.14 |
E.point) 관절 운동형상학적 움직임(Concave & Convex) + 닫힌 위치&느슨한 위치 (0) | 2021.01.11 |
E.point) 뼈운동형상학이란? (0) | 2021.01.11 |
E.point) 운동학(kinesiology)이란? (0) | 2021.01.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