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관절 운동형상학적 움직임(Concave & Convex) + 닫힌 위치&느슨한 위치 본문

기능해부학

E.point) 관절 운동형상학적 움직임(Concave & Convex) + 닫힌 위치&느슨한 위치

Allbody 2021. 1. 11. 15:57
반응형

 

관절 운동형상학적 움직임

 

볼록에 대한 오목의 관절운동형상학적 움직임

( Concave on Convex surface movement )

 

오목면구르기미끄러짐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오목면인 긴 막대가 구르기미끄러짐 만나는 지점모두 오른쪽으로 움직였네? 

 

[ 오목한 관절면의 움직임 ]

 

 

 

 

오목에 대한 볼록의 관절운동형상학적 움직임

( Convex on Concave surface movement )

볼록면 구르기미끄러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르기만나는 점오른쪽으로 움직이고,

미끄러짐만나는 점왼쪽으로 움직이네?!

 

[ 볼록한 관절면의 움직임 ]

 

 

 

 

 

plus

 

닫힌 위치(close packed position) & 느슨한 위치(loose packed position)

 

 

닫힌 위치

 

관절 내의 오목&볼록 관절면이 최대로 꼭 맞게 되는 위치

( 대부분 가동범위의 맨 끝범위 근처 )

 

관절 주머니 & 인대가 팽팽한 상태로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상태

부가적인 움직임(accessory movement)가 최소가 되는 위치!

( roll / slide / spin 최소의 움직임 )

 

ex) 무릎 관절의 최대 폄 위치

 

 

느슨한 위치

 

닫힌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

( 대부분 가동범위의 중간 범위 근처가 가장 낮은 일치성 )

 

관절 주머니 & 인대들이 느슨해져 있는 상태

부가적인 움직임(accessory movement)가 허용되는 위치!

( roll / slide / spin 허용! )

 

ex) 무릎 관절의 굽힘 쪽으로 치우쳐 있음

 

* 장기간 침상안정관절의 고정필요할 때 선호되는 위치 *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