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노화로 인해 시력이 떨어진다?! 노안이란? 본문
정의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이 감소되어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는 눈의 변화로,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비가역적입니다. 보통 40대 초반부터 증상을 느끼기 시작하고, 60대까지 증상이 점점 심해집니다. 근거리용 안경을 이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입니다.
흔히 근거리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것만을 노안의 증상이라고 생각하지만, 수정체의 탄력성 감소에 따른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정체는 먼 곳의 물체를 볼 때 가장 얇고 가까이 볼수록 두께가 증가해(조절, 굴절력 증가)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조절력이 감소하고, 두께가 변하는 속도 자체도 늦어집니다. 또한 처음엔 가까운 물체에 초점이 맞는다 하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원인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의 최대조절력이 감소하여 노안이 발생하고, 이는 섬모체(수정체의 양끝에서 수정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근육이 존재) 기능 저하, 수정체의 탄력성 저하, 수정체의 비대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최대조절력의 감소에 따라 근점거리(조절을 최대로 했을 때 사물을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눈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가 멀어지고, 근점거리가 25 cm 이상이 되면 근거리 작업에 불편을 느끼며 노안 증상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본래 지니고 있는 굴절 이상의 정도와 관계없이 나이가 들수록 조절력은 감소하지만 개인마다 노안의 발생 또는 진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정시는 40대부터 노안 증상을 느낍니다. 그러나 근시는 안경을 벗거나 안경 도수를 낮추어 노안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노안 증상을 다소 늦게 느낄 수 있습니다. 원시는 조절력 감퇴로 인한 노안 현상을 더 일찍 느낍니다.
다음과 같은 약물 사용이나 안질환에서도 노안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산동 혹은 조절마비를 일으키는 안약 점안
- 산동 혹은 조절마비를 유발하는 약제 복용 혹은 접촉: 항콜린제(anticholinergics), 코카인, 항우울제, 멀미에 의한 구역 구토의 예방에 사용하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성분의 약품을 복용하거나 귀 뒤에 붙일 경우 등
- 섬모체띠, 섬모체근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 외상, 염증, 급성폐쇄각녹내장 등
경과 및 예후
보통 40대 초반부터 근거리 시력저하를 느끼기 시작하여 60대까지 노안이 진행되면 점점 더 근거리가 덜 보이게 됩니다. 60대에 조절력이 거의 남지 않게 되면, 이후 노안 증상은 더 이상 악화되지 않습니다.
진단 및 검사
문진을 통해 근거리 시력저하를 확인하고, 굴절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한 후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합니다. 노안은 원거리 시력보다 근거리 시력이 나쁘고, 굴절이상을 교정한 렌즈에 볼록렌즈를 추가하여 근거리 시력표를 보게 했을 때 환자의 시력장애가 호전될 경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연관 증상
- 정상적인 독서 거리에서 글씨나 작은 물체가 잘 보이지 않음
- 특히 피곤하거나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보기가 어려움 (어두운 환경에서 처음 노안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흔함)
- 책이나 스마트폰을 멀리 두어야 더 또렷하게 보임
- 독서나 작은 물체를 이용한 작업 중 일정 시간 지나면 흐려지고 눈의 피로 혹은 두통을 느낌
- 먼 곳과 가까운 곳을 교대로 볼 때 초점 전환이 느림
치료
노안은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현대인은 스마트폰, 컴퓨터 작업 등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므로 노안에 의한 불편을 경감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적입니다.
1. 습관 및 환경 개선
주변 조명을 더 밝히면 동공이 축소되면서 초점 심도가 높아지므로 초기 노안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큰 글씨로 된 책을 보거나 컴퓨터 화면이나 스마트폰의 글씨와 그림을 확대 설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근거리 작업 중간중간 쉬는 시간을 많이 갖도록 합니다.
약한 근시가 있는 눈은 안경을 벗으면 가까운 곳이 잘 보이기 때문에 단순히 안경을 벗는 것 만으로도 노안 증상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근시 안경(특히 고도근시)을 쓰는 사람들이 안경을 눈에서 멀리, 코 끝에 걸게 되면 안경 도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어느 정도 근거리 안경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시가 있는 사람들은 위와 같은 일종의 편법으로 가까운 곳의 물체를 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노안이 늦게 온다고 느끼게 됩니다.
2. 광학적 교정
노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치료는 근거리 시력교정을 위한 안경(돋보기) 처방입니다. 근거리용 안경처방을 위해서는 원거리 안경도수(매우 멀리 있는 물체를 보고 있어 조절을 전혀 하지 않을 때 눈의 굴절력 측정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며, 이에 기초해 일정량의 볼록렌즈를 추가하여 제작합니다. 각 개인의 근거리 작업 거리, 연령, 팔 길이 등을 참조하며, 특히 남아 있는 조절력을 고려해 최소한의 볼록렌즈로 선명하고 안락한 근거리 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근거리용 도수를 정합니다.
3. 수술적 요법
엑시머레이저나 고주파를 이용한 각막수술, 각막인레이를 삽입하는 수술 등 각막 수술을 통한 방법, 백내장 수술과 동시에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법 등 수정체를 통해 노안을 교정하는 여러가지 수술적 방법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수술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과 달리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도 되돌릴 수 없거나 재수술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수술마다 장단점이 있으며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충분히 이해해야 하므로 안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노안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오는 자연적인 현상이나, 시력저하는 노안 이외의 다른 원인질환일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안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단순한 노안 증상이라기 보다 다른 원인질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갑자기 한쪽 눈의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
- 갑자기 흐릿하게 보이거나 커튼으로 가린 것처럼 보이는 경우
- 갑자기 근거리 시력 저하와 겹쳐서 보이는 복시가 함께 생긴 경우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0) | 2021.02.10 |
---|---|
쌍둥이&세쌍둥이 임신, 다태임신이란? (0) | 2021.02.08 |
위험한 임산부가 있다?! 고위험 임산부란? (0) | 2021.01.25 |
뼈 안의 조혈기관을 검사한다? 골수검사란? (0) | 2021.01.22 |
입냄새가 심해요,, 구취란??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