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근육뼈대의 지레(1형, 2형, 3형 지레) 본문
지렛대의 원리
인체의 내부에서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은 뼈의 지레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크를 생산
역학적 이득(mechanical advantage, MA)
내적인 모멘트암(IMA)와 외적인 모멘트암(EMA)의 비율
* 모멘트 암 - 모멘트를 일어키는 힘과 회전 작용이 발생하는 지점과의 거리
Fulcrum 받침점(돌림축)
F1, F2는 모멘트를 일으키는 힘
D1, D2는 회전 작용이 발생하는 지점과의 거리
위 두가지의 요소로 토크가 발생!
시소를 탔을 때
한쪽에 무거운 사람이 앞쪽에 타고 반대 편에 가벼운 사람이 뒤쪽에 타면
비슷하게 균형잡을 수 이는 이유가 요것 때문!
모멘트 암이 길어질수록 작은 힘으로 큰 토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지레의 종류
[빨간 화살표 - 내적인 힘, 초록 화살표 - 외적인 힘]
제 1형 지레
균형이 잡혀 평형상태에 놓임 ( MA=1 )
힘들 사이에 돌림 축이 존재
토크들의 방향 - 서로 반대 방향
[ effort torgue - 반시계방향. Load torgue - 시계 방향 ]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 - 같은 직선 방향
[ 둘다 아래 방향 ]
제 2형 지레
돌림 축이 뼈 한 쪽 끝에 위치
내적인 힘이 외적인 힘보다 더 큰 지레작용을 가짐( MA>1 )
[내적인 힘의 모멘트 암이 더 길다]
[ 적은 힘으로 효율적으로 돌림 운동을 시킬 수 있다 ]
제 3형 지레
돌림축이 뼈의 한 쪽 끝에 위치
외적인 힘이 내적인 힘보다 더 큰 지레작용을 가짐 ( MA<1 )
[외적인 힘의 모멘트 암이 더 길다]
[ 돌림운동을 하기위해 비효율적으로 엄청 힘을 많이 써야 된다 ]
우리 몸은 대부분이 제 3형 지레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은 외적 부하에 비해 몇 배나 더 큰 힘을 생산해야되기에
관절에 엄청난 압박력과 전단력을 생산
( 관절연골, 지방패드, 윤활주머니 등이 존재하는 이유겠지요)
올바른 움직임으로 운동하고 몸을 사용해야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되겠죠?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int) 운동역학이란? 요약 ver.1 (0) | 2021.02.10 |
---|---|
E.point) 운동학이란? 요약 ver.1 (0) | 2021.02.09 |
E.point) 근육의 작용, 짝힘(Couple Force) (0) | 2021.02.05 |
E.point) 근육의 작용에 관한 용어 (작용근, 대항근, 협동근) (0) | 2021.02.04 |
E.point)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feat. 관절의 기준 위치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