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운동역학이란? 요약 ver.1 본문

기능해부학

E.point) 운동역학이란? 요약 ver.1

Allbody 2021. 2. 10. 16:00
반응형

 

운동역학

물체에 대한 힘의 효과를 설명하는 역학의 한 분야

 

 

1. 힘(force)

물체의 움직임이나 안정성을 위한 궁극적인 운동력을 제공

 

근육 뼈대계통에 대한 힘의 영향( 부하, load )

Unloaded ( 무부하 )

부하를 받지 않고 있는 상태

Tension ( 장력 )

신장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Compression ( 압박 )

압박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Bending ( 굽힘 )

한 면 압박, 다른 한 면 신장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Shear ( 전단 )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Torsion ( 비틀림 )

돌림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Combined loading ( 결합된 부하 )

두 가지 형태 이상의 힘의 부하를 받고 있는 상태

 

 

2. Stress-Strain Curve

비선형(발끝) 영역 (nonlinear region)

약한 변형률(신장) 하에서는 인대는 작은 양의 응력(장력)만을 만들어 낸다.

조직 내의 아교섬유(인대)물결 or 주름 모양을 나타내는 영역

 

선형(탄성) 영역 (Elastic region)

인대탄성 영역의 범위 안에서 변형

항복점(yield point)

생리학적 범위를 넘어선 범위변형률(신장력)이 증가되어도 응력(장력)의 증가엔 한계가 나타나는 시점

 

가소성 영역(Plastic region)

미세한 파열이 일어나고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

 

최종 파열점(ultimate failure point)

조직이 부분 또는 완전 분리(파열)되어 장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상실

 

 

3. 내적인 힘(Internal force)과 외적인 힘(External force)

내적인 힘(Internal force)

신체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들로 인해 생산

외적인 힘(External force)

신체의 외부로부터 작용한 힘들에 의해 생성

 

모멘트 팔(moment arm) : 돌림축과 힘 사이의 수직거리

토크(torgue) : 힘 X 모멘트 팔

 

내적인 토크(Internal torque) : 내적인 힘 X 내적 모멘트 팔

외적인 토크(External torque) : 외적인 힘 X 외적 모멘트 팔

 

 

4. 근활성의 3가지 기본유형 [등척성, 동심성, 편심성]

등척활성(Isometric activation)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근육이 당기는 힘을 생산

동심성(Concentric activation)

근육이 짧아지면서 당기는 힘을 생산

 

편심성(eccentric activation)

근육이 길어지는 만큼 당기는 힘을 생산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