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해부학 (11)
Allbody

세포막의 구조 두께 세포의 종류에 관계없이 보통 7.5~10nm 로 거의 일정하다 3층의 구조 속층&바깥층&중층 속층 - 단백질로 구성 바깥층 -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결합물 중간층 - 인지질로 구성 세포막 연결 치밀이음부(폐쇄띠, tight junction) 전체가 띠 모양으로 세포의 둘레를 따라 존재하고, 물질의 이동을 막는 역할 ( 치밀하게 막아라! ) 부착반점(부착반, desmosomes) 세포가 떨어지는 것을 막는 연접으로 원판상의 구조 ( 안 떨어지게 잘 부착해라~ ) 틈새이음(간극연결, gap junction) 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작은 관이 뚫려 있다 ( 틈새 공략! 모두 이동하라! )

막단백질(membrane protein) 세포막 기능의 주체! 표재성(주변) 단백질(Extrinsic or peripheral protein) 세포 밖의 바탕질(기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외부벽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로 작용하거나 세포분열 or 근육수축과 같은 세포의 형태 변화에 관여 내재성(통합) 단백질(Intrinsic or Integral protein) 전체 막 단백질의 70% 차지 운반체(carrier) or 통로(Channel)를 형성하고 있어 물질 운반에 관여한다. [ 막수송 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 ] 세포막의 이온 통로를 형성하여 지질층으로 통과할 수 없는 수용성 분자와 이온을 세포 안팎으로 운반 [ 막지질의 꼬리부분이 소수성으로 물과 친하지 않아, 뚫을 수 없어! ..

핵이 있는 세포 - 진핵세포(eukaryote) 핵이 없는 세포 - 원핵세포(prokaryote) 세포를 구성하는 물질 - 원형질(protoplasm) 세포의 구조 핵(nucleus)과 그 주위를 둘러싼 세포질(cytoplasm)로 나뉨 세포막(형질막, cell membrane) 세포의 가장 바깥층을 둘러 싸고 있는 막 단백질층과 이중 지질층 1. 세포막의 기능 o 항상성 o 내부와 외부환경의 경계역할 o 물질교환 o 외부의 정보를 수용 o 접촉한 다른 세포를 인지 o 화학반응 o 세포와 세포 사이의 결합 상태를 유지 2. 세포막의 조성 지질(lipid) / 단백질(protein) / 탄수화물(carbohydrate) 막지질(membrane lipid) 인지질(phosholipid) / 콜레스테롤(cho..

해부학적 자세란? 인체의 구조 및 부위를 보다 명료하게 표시고 통일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 신체 부위의 위치와 동작을 기술하는 데 기준이 되는 중립적 자세 인체의 면 시상면 / 이마면 / 수평면 시상면(sagittal plane)=정중면(median plane) 시상면 - 몸의 앞뒤를 지나는 수직면 신체 움직임 - 굽힘&폄, 발등굽힘&발바닥굽힘, 앞쪽굽힘&뒤쪽굽힘 [ 시상봉합을 지난다 ] 이마면(frontal plane)=관상면(cronal plane) 이마면 - 몸의 좌우를 지나는 수직면 신체 움직임 - 벌림&모음, 가쪽굽힘(몸통), 자쪽치우침&노쪽치우침(손목) [ 관상봉합 지난다 ] 수평면(horizontal plane) = 가로면(transverse plane) 수평면 - 신체를 위와 아래로 나누는..

해부학이란? 해부를 통해 사람 몸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 어원 라틴어 'anatomy' = 'ana' + tomy' ------ 합성어! ana = 분해하다, tomy = 절단하다 ------ 분해와 절단! 해부학은 생물학의 한 분과 학문으로, 생물의 구조 또는 형태에 관한 학문 기능을 취급하는 생리학(physiology)와 관련!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 '해부(anatom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Andreas Vesalius) - 근대 해부학의 아버지 말피기(Malpighi) - 조직학의 아버지 사람해부학 - 의학의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 맨눈 해부학 -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인체의 정상적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 생명체의 기본 특징 ○ 핵산, 탄수화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