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토크 (2)
Allbody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근육이 특정한 돌림운동 방향과 운동면에서 토크를 유발하는 것 관절을 구성하는 분절 중 어느 한쪽이 더 자유롭고 다른 한쪽이 고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어깨뼈(scapula)가 위팔뼈(humerus)보다 고정되어 있는 관절 -> 위팔뼈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두 관절의 뼈운동형상학 관계 위팔뼈 - 몸쪽관절에 대한 먼쪽분절의 뼈운동형상학 어깨뼈 - 먼쪽관절에 대한 몸쪽관절의 뼈운동형상학 중요한 요소 관절 간의 뼈운동형상학 관계 근육이 작용할 때 신체의 해부학적 위치 근육이 작용할 때의 해부학적 위치란?? 뒤어깨세모근(후면삼각근, posterior deltoid) 일반적 해부학적 위치 기준 이마면 - 어깨관절 모음(adduction) 수평면 - 어깨관절 가..

내적인 힘(Internal force) 신체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들로 인해 생산 능동적(active) 힘 : 자극된 근육 수동적(passive) 힘 : 신장된 관절주위의 결합조직에 의해 생산된 장력 외적인 힘(External force) 신체의 외부로부터 작용한 힘들에 의해 생성 중력(gravity) or 외부로부터의 힘[ex) 신체적 접촉] 돌림축으로부터의 일정 거리에서의 힘 적용 -> 관절의 돌림운동 모멘트 팔(moment arm) : 돌림축과 힘 사이의 수직거리 토크(torgue) : 힘 X 모멘트 팔 모멘트 팔이 없을 때, 병진운동이 발생 모멘트 팔이 있을 때, 돌림운동이 발생 내적인 토크(Internal torque) : 내적인 힘 X 내적 모멘트 팔 [ 근육과 관절 사이의 수직거리 ] 외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