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asyPoint (33)
Allbody

바탕질(Ground Substance)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물질로, 물을 함류한 기질 또는 겔 [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GAG), 물(water), 용질(soulte)로 구성 ]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AG) 바탕질에 물리적 탄성을 제공하는 반복 다당류의 큰 중합체 음전하를 띔 GAG는 프로테오글리칸 복합체가 강한 친수성 성질을 갖게 하여 자신 무게의 50배에 해당하는 물을 끌어당김 -> 바탕질 내 영양 확산을 위한 체액 매개체 기능 제공 수분 흡수를 통해 팽창된 조직은 바탕질 내 아교 섬유 등에 이의 제한됨 -> 내&외부의 압박에 저항할 수 있는 반유동성 팽창 구조 기능을 제공 관절면을 덮어 이상정인 관절면 덮개 기능을 제공하여 반복적인 힘들을 분산시켜준다. ..

아교질 & 탄력소 섬유단백질 모든 관절주위 결합조직 내에 다양한 비율로 존재 [ 모든 단백질의 30% 차지로 인체에서 가장 풍부함 ] ( 욕심쟁이,,) 3중의 나선형 방식의 형태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짐 [ 아미노산 배열에 근거해 29가지 유형의 아교질로 설명됨 ] 대부분 아교질은 '유형 l'과 '유형 II'로 구성 유형 l 아교질 장력을 받을 경우, 신장이 잘 되지 않는 굵은 섬유 [ 인대, 섬유성 관절주머니, 힘줄, 근막 등 ] * 관절을 결합시키고 지지하는데 이상적인 역할 유형 ll 아교질 유형 l 보다 훨씬 얇고 적은 장력을 지닌 섬유 [ 유리연골 ] * 복잡한 구조의 견고함과 일반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 [ 관절주위 결합조직은 아교질 외 탄력섬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 탄력섬유(elastic fi..

돌림축 ( Axis of Rotation ) 각운동을 위해 중심축을 통과하는 지점 문의 경첩은 문이 움직이는 동안 핀이 고정되어 문이 어떤 각도로 열리더라도 핀의 위치는 똑같습니다. [ 똑같은 돌림의 호를 그리죠 ] 해부학적 관절에서는 돌림축은 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부학점 관점에서 돌림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a - a' 선 그리고 b - b' 선 중심 위에 두 개의 수직선을 그었을 때, 교차하는 점이 움직임의 운동호에 대한 순간적인 돌림축입니다! 순간적인 돌림축이란? 특정한 운동호(arc of motion) 즉, 관절에서 돌림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에만 유지되는 돌림축입니다. [ 문의 경첩처럼 핀이 고정해주지 않기 때문이지요~ ] [ 움직이는 동안 돌림축이 계속 미세하게 ..

윤활관절의 분류 경첩관절(hinge joint) 문의 경첩과 유사한 구조 [ 빈 원통에 핀이 가로로 들어간 형태 ] 각운동 - 돌림축에 직각으로 놓인 운동면, 굽힘과 폄 [ ex) 위팔자관절 - 굽힘과 폄 ] * 약간의 병진운동(미끄러짐)도 일어납니다 * [ 아주 약간... ] 중쇠관절(pivot joint) 큰 원통형에 중심핀이 세로로 들어간 모양 각운동 - 돌림축과 평행하게 놓인 관절면, 축돌림 [ 몸쪽노자관절, 고리중쇠관절 - 축돌림 ] 타원관절(ellipsoid joint) 긴 볼록관절면과 긴 오목관절이 만나 형성된 관절 각운동 - 타원형으로 만나는 관절면, 굽힘&폄, 벌림&모음 but, 축돌림이 매우 제한 [ 노손목관절 : 벌림&모음, 고리뒤통수관절 : 굽힘&폄, 가쪽굽힘 ] 절구관절(ball ..

가동관절(Diarthrosis)이란? 중간 ~ 광범위한 범위까지 운동을 허용하는 관절 = 윤활관절(Synovial joint)이라 언급된다 [ 윤활액으로 차있는 공간이 있다 ] 움직임을 위해 항상 윤활관절과 관계되는 요소 1. 윤활액 (synovial fluid) 관절면들을 덮고 있고 관절연골에 영양공급 및 관절면들 간의 마찰을 감소 2. 관절연골 (articular cartilage) 뼈 관절면을 덮는 부분 3. 관절주머니 (joint capsule) 2개의 층, 치밀결합조직으로 구성(바깥층), 뼈들 사이의 지지, 관절 내용물 봉쇄 4. 윤활막 (synovial membrane) 관절주머니의 속층을 구성, 점성도를 가진 윤활액을 생성 5. 인대 (ligament) 과도한 움직임 방지 관절주머니인대와 관..

부동관절(Synarthrosis)이란? 움직임이 없거나 약간의 움직임만 허용하는 관절 부동관절의 분류 1. 섬유관절(fibrous joint) 2.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 섬유관절 고농도의 아교질을 갖고 특수화된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관절 ex) 머리뼈의 봉합(Suture), 뼈사이막, 인대결합 등 연골관절 아교질과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유연한 섬유연골 or 유리연골에 의해 고정 ex) 두덩뼈 결합, 척추뼈몸통사이관절, 목장뼈몸통자루관절 등 부동관절의 기능 뼈들 사이를 강하게 연결하고 힘을 전달 결합조직에 의해 지지되고, 아주 적은 움직임만 허용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