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4 (뼈 2) 본문
반응형
뼈(Bone)
매우 역동적인 구조
[ 뼈모세포 : 미네날염 침착 조율 & 바탕질과 아교질을 지속적으로 합성 ]
(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열일하고 있어요 )
신체활동 & 호르몬의 영향으로 반응
풍부한 혈액공급을 통한 역동적인 대사작용
[ 외·내적 스트레스에 반응으로 일정하게 재형성, 골절 후 회복에 관여 ]
( 뼈는 몸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이란 큰 역할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
관절과 연루된 뼈
재형성 & 회복 & 재생에 대해 월등한 능력을 가짐
[ 긴 뼈의 끝부분은 체중지지면을 통해 여러방향에서 압박력을 받음 ]
힘의 전환
연골밑 뼈 -> 갯솜뼈 -> 치밀뼈의 긴 축
[ 뼈가 갖는 구조적 형태의 장점을 활용을 위한 힘의 방향을 전환 ]
( 이렇게 외부&내부의 힘을 흡수하고 전달합니다! )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뼈의 역할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희는 문어처럼 뼈 없이는 움직일 수가 없어요~
모든 근육은 뼈&근막에 부착되어 있어서 관리를 잘해야되요!
그리고 대사작용이 어마어마해서 골절되면 엄청나게 붓고 아파요ㅜ
그리고 뼈는 신체활동에도 많은 영향을 받기에 올바른 활동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int) 볼프의 법칙(Wolff's Law) (0) | 2021.04.30 |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4 (뼈 1) (0) | 2021.04.23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3 (섬유연골) (0) | 2021.04.22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2 (관절연골) (0) | 2021.04.05 |
E.point) 관절주위의 결합조직 유형 1 (치밀결합조직) (0) | 2021.03.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