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호르몬 (3)
Allbody

[연구 소개] * 연구팀 :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EPFL) 나노전자 연구소 * 성과 : 엑스센시오(Xsensio)와 함께 스트레스 호르몬을 지속적으로 감지·측정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 [연구 성과] 트렌스지터와 그래핀으로 만든 전극이 포함된 패치형 장치로, 매우 높은 감도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 속의 호르몬과 접촉하여 즉시 감지하고, 그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스 수준을 정량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관련 질병에 대해 선제적 대응 가능성을 기대 코르티솔(Cortisol), 스트레스를 알려주는 호르몬 이 호르몬의 농도가 균형을 잃고, 너무 많이 분비되거나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은 채 지속되면 이른바 스트레스성 질환이 나타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칠 수 있다. 보통은 두통, 불면증, 만성 피로 등..

정의 약 1년간 피임 등 아무런 장애 없이 정상적인 성관계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이는 임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고 보통 난임(subfertility)의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종류 1차성 불임 : 과거에 한 번도 임신을 해 본 적이 없는 불임 2차성 불임 : 과거에 임신을 해 본 기왕력이 있으나, 그 후 임신이 되지 않는 불임 원인 여성측 원인 1) 난소요인(배란이상) 배란장애로, 난소에서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현상, 여성 불임의 약 40% 차지 (1) 조기난소부전(POF; Premature Ovarian Failure) (2)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3) 성선자극 호르분의 분비 ..

정의 무월경이란 월경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첫 월경의 여부에 따라 1차성 or 2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집니다. 1차성 무월경 2차 성징이 사라지면서 첫 월경이 만 13세까지 나타나지 않거나, 2차 성징은 있지만 만 15세까지 첫 월경이 없는 경우를 뜻합니다. 2차성 무월경 월경의 주기가 평소보다 3배 이상 or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에 한 주기 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오랜 시간 월경을 하지 않는다면 건강 이상의 첫 징후일 수 있습니다. 원인 1차성 무월경의 원인 1)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분비 이상 - 전체 무월경 원인의 약 1/3을 차지 - 유전적 질환 or 뇌종양 등 원인에 의한 호르몬에 의해 이상을 일으킴 2) 1차성 난소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