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한 달에 한 번 하지 않아요, 무월경이란? 본문

건강정보

한 달에 한 번 하지 않아요, 무월경이란?

Allbody 2021. 2. 18. 10:00
반응형

 

정의

 

무월경이란 월경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첫 월경의 여부에 따라 1차성 or 2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집니다.

 

1차성 무월경

2차 성징이 사라지면서 첫 월경이 만 13세까지 나타나지 않거나, 2차 성징은 있지만 만 15세까지 첫 월경이 없는 경우를 뜻합니다.

 

2차성 무월경

월경의 주기가 평소보다 3배 이상 or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에 한 주기 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오랜 시간 월경을 하지 않는다면 건강 이상의 첫 징후일 수 있습니다.

 

 

 

원인

1차성 무월경의 원인

1)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분비 이상

- 전체 무월경 원인의 약 1/3을 차지

- 유전적 질환 or 뇌종양 등 원인에 의한 호르몬에 의해 이상을 일으킴

 

 

2) 1차성 난소부전

- 방사선 치료

- 항암화학 요법

- 감염

- 자가면역성 질환

 

 

3) 효소결핍증

- 5-알파-리덕타제(5α-reductase) 결핍

  : 이 효소가 결핍될 경우 유방의 발달이 일어나지 않고 성선자극 호르몬의 농도가 낮아 생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4) 해부학적 이상

- 뮐러리안 무발생

- 처녀막 막힘증

- 가로 질중격

- 자궁내막증

- 골반 유착증

 

 

 

2차성 무월경의 원인

1) 임신

 

2) 갑상선 기능 이상

 

3) 난소 부전

 - 폐경

 - 흡연은 난소부전을 촉진 시켜 가임 기간을 단축시킵니다.

 

4) 뇌하수체, 시상하부 병변

- 종양

- 허혈(혈류 부족)

- 육아종(염증성 결절)

- 외과적

- 방사선학적 치료

- 쉬한 증후군

 

* 쉬한 증후군(Sheehan syndrome)

 - 출산 시의 심한 출혈로 뇌에 혈액이 제대로 가지 못해 생기는 병입니다.

 

5) 신경성 식욕 부진

- 정상 체중의 15이상 낮음

- 정신적 불안

- 자신의 몸에 대한 비정상적 생각

 

6) 비만

- 지방세포의 수가 많아 여성호르몬이 많아지므로 무월경을 유발

- 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발생

 

7) 스트레스

심한 운동과 스트레스는 뇌의 호르몬 분비 이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1) 문진 및 이학적 검사

- 가족력

- 선천성 기형

- 임상 증상 (두통, 요붕증, 사지 마비 등)

- 골반검사

- 질 유무 및 기형 여부 평가

- 2차 성징 유무

- 유전자 검사를 통한 염색체 이상 여부

 

 

2) 호르몬 및 염색체 검사

- 임신 여부

- 호르몬 기능 확인

-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 검사

- 뇌 MRI를 통한 종양 여부 확인

 

 

치료

1. 수술적 치료

 

2. 호르몬 약물 치료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일 경우 갑상선 호르몬 복용

- 난소기능부전일 경우 여성 호르몬 치료

 

3. 체중 조절

 - 과체중 또는 비만일 경우 체중을 빼는 것이 아주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4. 경구피임약 복용

 - 무배란이 지속될 경우 자궁 내막이 과도하게 증식하기 때문에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기도 합니다.

 

5. 배란 유도 호르몬 주사제

- 불임 치료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