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Point (33)
Allbody

부동관절(Synarthrosis)이란? 움직임이 없거나 약간의 움직임만 허용하는 관절 부동관절의 분류 1. 섬유관절(fibrous joint) 2.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 섬유관절 고농도의 아교질을 갖고 특수화된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관절 ex) 머리뼈의 봉합(Suture), 뼈사이막, 인대결합 등 연골관절 아교질과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유연한 섬유연골 or 유리연골에 의해 고정 ex) 두덩뼈 결합, 척추뼈몸통사이관절, 목장뼈몸통자루관절 등 부동관절의 기능 뼈들 사이를 강하게 연결하고 힘을 전달 결합조직에 의해 지지되고, 아주 적은 움직임만 허용 출처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저자 Donald A. Neumann

관절이란? 둘 또는 둘 이상의 뼈들 사이의 연결 or 중심점 관절의 역할 전반적으로 관절을 중심으로 뼈들의 돌림운동이 일어난다. 중력과 근활성에 의해 생산된 힘을 전달하고 분산시킨다. 관절학(Arthrology)이란? 관절들의 분류, 구조 그리고 기능에 대한 학문 운동학의 전반적인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 관절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노화 장기간의 고정 외상 질환 * 위 요소로 인해 움직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운동역학 물체에 대한 힘의 효과를 설명하는 역학의 한 분야 1. 힘(force) 물체의 움직임이나 안정성을 위한 궁극적인 운동력을 제공 근육 뼈대계통에 대한 힘의 영향( 부하, load ) Unloaded ( 무부하 ) 부하를 받지 않고 있는 상태 Tension ( 장력 ) 신장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Compression ( 압박 ) 압박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Bending ( 굽힘 ) 한 면은 압박, 다른 한 면은 신장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Shear ( 전단 )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Torsion ( 비틀림 ) 돌림에 대한 힘의 부하를 받는 상태 Combined loading ( 결합된 부하 ) 두 가지 형태 이상의 힘의 부하를 받..

어원 (그리스어) kinesis(움직인다) + logy(학문) Kinesiology(운동학) 근육 뼈대계통 내의 해부학적 그리고 생체역학적 상호작용들에 초점을 맞춤 1. 운동형상학(kinematics) 힘이나 토크는 고려하지 않고 몸의 운동만을 묘사하는 역학의 한 분야 병진운동(translation)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선형의 운동 돌림운동(rotation) 어떠한 중심점에 대해서 원을 그리는 경로로 움직이는 운동 돌림축 신체 각 분절의 각 운동(angular motion)을 위한 중심점 2. 뼈운동형상학(osteokinematics) 신체에 대한 3가지의 기본적인 면(시상면, 이마면,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뼈의 운동을 설명 시상면(Sagittal plane) - 굽힘과 폄 이마면(Coron..

지렛대의 원리 인체의 내부에서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은 뼈의 지레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크를 생산 역학적 이득(mechanical advantage, MA) 내적인 모멘트암(IMA)와 외적인 모멘트암(EMA)의 비율 * 모멘트 암 - 모멘트를 일어키는 힘과 회전 작용이 발생하는 지점과의 거리 Fulcrum 받침점(돌림축) F1, F2는 모멘트를 일으키는 힘 D1, D2는 회전 작용이 발생하는 지점과의 거리 위 두가지의 요소로 토크가 발생! 시소를 탔을 때 한쪽에 무거운 사람이 앞쪽에 타고 반대 편에 가벼운 사람이 뒤쪽에 타면 비슷하게 균형잡을 수 이는 이유가 요것 때문! 모멘트 암이 길어질수록 작은 힘으로 큰 토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지레의 종류 [빨간 화살표 - 내적인 힘, 초록 화살표 - 외적인 힘..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신체 표면, 각 기관의 바깥 표면과 속면을 덮고 있는 막조직 내부 구조물의 형태를 보호, 분비와 흡수, 감각감수 및 생식세포 생산 등에 관여 특징 상피세포가 많고 세포사이질이 적다 혈관이 없어, 결합조직의 혈액공급에 의존 손상 시 빠른 복구&재생이 된다 다른 조직에 고정시킨다 모양과 배열에 다른 분류 편평상피(Squamous epithelium) 단층와 중층로 구분된다 단층편평상피(simple squamous epithelium) 표면이 편평하고 세포질이 아주 적고 얇으며 중심부에 핵이 있다. 가슴막, 복막, 심장막의 속표면, 허파꽈리와 토리주머니 존재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가장 넓게 퍼져 있는 상피 여러층으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