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Point (33)
Allbody

세포질(cytoplasm) 세포막 내부의 핵 부분을 제외한 부분 [ 세포활동이 일어나는 팩토리! ] 세포소기관(organelles) 세포의 대사 및 합성기능을 담당하는 세분화된 기관 1. 사립체(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세포의 에너지원을 합성&공급하는 기관 능선(내판, cristae)에서 ADP로부터 ATP를 합성과 관련된 효소계가 들어 있다 [ 세포 동력공장, 발전소(power factory) ] 2. 골지체(Golgi apparatus)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막이 겹쳐져 있는 부분 소포(vesicle) or 빈물집(공포, vacuole)로 구성 [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세포에 존재 ] 세포질그물에서 생산&운반한 물질을 농축 후 배출 당단백질, 점액, 당류의 합성에도 관여 3. 세포질그물..

내적인 힘(Internal force) 신체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들로 인해 생산 능동적(active) 힘 : 자극된 근육 수동적(passive) 힘 : 신장된 관절주위의 결합조직에 의해 생산된 장력 외적인 힘(External force) 신체의 외부로부터 작용한 힘들에 의해 생성 중력(gravity) or 외부로부터의 힘[ex) 신체적 접촉] 돌림축으로부터의 일정 거리에서의 힘 적용 -> 관절의 돌림운동 모멘트 팔(moment arm) : 돌림축과 힘 사이의 수직거리 토크(torgue) : 힘 X 모멘트 팔 모멘트 팔이 없을 때, 병진운동이 발생 모멘트 팔이 있을 때, 돌림운동이 발생 내적인 토크(Internal torque) : 내적인 힘 X 내적 모멘트 팔 [ 근육과 관절 사이의 수직거리 ] 외적인 ..

막단백질(membrane protein) 세포막 기능의 주체! 표재성(주변) 단백질(Extrinsic or peripheral protein) 세포 밖의 바탕질(기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외부벽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로 작용하거나 세포분열 or 근육수축과 같은 세포의 형태 변화에 관여 내재성(통합) 단백질(Intrinsic or Integral protein) 전체 막 단백질의 70% 차지 운반체(carrier) or 통로(Channel)를 형성하고 있어 물질 운반에 관여한다. [ 막수송 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 ] 세포막의 이온 통로를 형성하여 지질층으로 통과할 수 없는 수용성 분자와 이온을 세포 안팎으로 운반 [ 막지질의 꼬리부분이 소수성으로 물과 친하지 않아, 뚫을 수 없어! ..

Stress-Strain Curve Stress(응력) 세로(Y)축 인대가 변형에 따라 저항할 때 발생된 내부의 저항력 Strain(변형률) 가로(X)축 신체 조직의 신장된 길이의 증가비율 약한 변형률(신장) 하에서는 인대는 작은 양의 응력(장력)만을 만들어 낸다. 비선형(발끝) 영역 (nonlinear region) 조직 내의 아교섬유(인대)가 물결 or 주름 모양을 나타내는 영역 선형(탄성) 영역 (Elastic region) 인대는 탄성 영역의 범위 안에서 변형 변형시키는데 이용된 에너지는 힘이 사라질 때 사라짐 [ 정상적 인대는 변형을 제공하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온다 ] 탄성 영역 범위 내에서 중간 정도의 양의 신장은 관절의 안정화 기능을 수행 항복점(yield point) 생리학..

핵이 있는 세포 - 진핵세포(eukaryote) 핵이 없는 세포 - 원핵세포(prokaryote) 세포를 구성하는 물질 - 원형질(protoplasm) 세포의 구조 핵(nucleus)과 그 주위를 둘러싼 세포질(cytoplasm)로 나뉨 세포막(형질막, cell membrane) 세포의 가장 바깥층을 둘러 싸고 있는 막 단백질층과 이중 지질층 1. 세포막의 기능 o 항상성 o 내부와 외부환경의 경계역할 o 물질교환 o 외부의 정보를 수용 o 접촉한 다른 세포를 인지 o 화학반응 o 세포와 세포 사이의 결합 상태를 유지 2. 세포막의 조성 지질(lipid) / 단백질(protein) / 탄수화물(carbohydrate) 막지질(membrane lipid) 인지질(phosholipid) / 콜레스테롤(cho..

관절운동형상학(arthrokinematics) 관절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 대부분의 관절면은 약간의 곡선이라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 오목면 & 볼록면 존재 ] 1. 볼록-오목의 관계는 관절의 일치성을 향상시킨다 2. 접촉력을 분산 3. 표면 면적을 증가 4. 뼈들 간의 운동을 안내하는데 도움 기본적 움직임 구르고(roll) / 미끄러짐(slide) / 회전(spin) 구르기와 미끄러짐의 다른점 구르기 한 관절면의 여러 점과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과 만남 ( 동그라미의 빨간 점, 파란 점, 주황 점 여러 점이 다른 면의 왼쪽, 중앙, 오른쪽 각각 다르게 닿는중! ) [ 여러 점 & 여러 점 ] 미끄러짐 한 관절면의 한 점과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과 만남 ( 동그라미의 빨간 한 점이 다른 면의 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