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두 눈이 다른 곳을 본다? 사시란?? 본문
정의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입니다.
예를 들어, 한 눈은 정면을 보지만 다른 눈은 다른 방향쪽으로 돌아갑니다.
종류
1. 간헐성 외사시
- 한 눈 혹은 양 눈이 교대로 바깥으로 나가는 사시
- 피곤할 때, 고열 시, 졸릴 때 주로 나타남
- 눈부심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1)) 원인
- 외안근의 비정상적인 부착 or 외안근 유착
- Crouzon(크루존 증후군), 사두증, 외안근 이상, 중추신경계 이상 등
- 미숙아일 경우 사시 발병률이 높습니다.
2. 거짓 내사시
- 외관상 사시처럼 보이는 경우
- 얼굴의 형태(쌍꺼풀, 찢어진 눈, 작은 눈, 몰린 눈 등)로 인해 내사시 같이 보일 수 있습니다.
- 성장하면서 살이 빠지고 콧대가 서면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3. 영아 내사시
- 생후 6개월이내 발견되는 1차 사시
- 30p.d.(prism diopter) 이상의 큰 내사시각을 보임
1) 원인
- 외안근의 해부학적 이상
- 긴장 눈 모음, 이향운동체계 등 유전에 의해 발생 or 신경생리학적 발생 기전
4. 조절 내사시
1) 굴절조절내사시
- 원시를 교정할 때 모든 주시거리, 방향에서 정위로 회복되는 내사시
- 원시 교정 안경 착용 시 사시가 사라짐
* 원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6~12개월 간격으로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2) 비굴절조절내사시
- 원시성 굴절이상과 관계없이 굴절이상 교정 시 근거리에서 더 큰 내사시를 보임
- 생후 6개월 ~ 3세 사이 나타나며, 중등도의 원시가 가장 흔함
5. 상사근 마비
- 마비사시 중 가장 흔항 형태
- 활차신경(뇌신경 4번)의 마비, 상사근의 이상 or 결함으로 인해 발생
- 선천성, 외상 혈관성 허혈, 종양, 혈관류에 의해 발생 가능
* 주증상으로 마비된 눈의 반대쪽으로 머리를 기울이는 모습을 보이며 얼굴이 비대칭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1) 프리즘 교대가림 검사
- 명백한 편위와 사위를 합친 전테 편위량을 측정
2) 굴절검사 및 조절마비 굴절검사
3) 세극등 검사
- 일자로 비추는 빛을 사용하여 각막과 수정체의 상태를 조사
4) 안저검사
- 검안경 or 세극등을 이용하여 동공을 통해 눈알 내의 유리체 망막, 맥락막, 시신경 유두 등을 확인
치료
1) 비수술적 치료
양안의 굴절능력이 다르거나 심한 난시의 경우 시력 발달의 이상으로 약시가 발생, 이로 인해 사시가 발생할 수 있다.
- 원시나 난시에 대해 적절한 안경 착용을 통한 교정
- 원시로 인한 조절 내사시의 경우, 원시 안경 사용
- 안경 착용을 통한 정상적 눈의 사용을 제한, 다른 눈의 사용을 통한 시력 증진
2) 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치료으로 효과를 보지 못할 경우 or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적응이 되지 않는 시기일 경우 지체 없이 수술
- 외안근 수술을 통해 근육의 힘을 약화 or 강화 해주는 것이 기본원리
- 사시각 및 사시 형태에 따라 수술 방법이 결정
수술 후 부작용
1. 수술직후 복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부족교정이 될 수 있습니다.
3. 과교정이 될 수 있습니다.
4. 재발이 될 수 있습니다.
5. 잠복사시가 발현될 수 있습니다.
6.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7. 공막천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질환&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 음식 먹은건가?! 식중독이란? (0) | 2021.03.11 |
---|---|
심부전이 발생할 수도? 심내막염이란? (0) | 2021.03.09 |
심장 내 여닫이 문이 고장나다? 심장 판막 질환이란? (0) | 2021.03.04 |
몸이 퉁퉁 부어요, 부종이란? (0) | 2021.02.24 |
눈동자가 하얗다?! 백내장이란?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