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상한 음식 먹은건가?! 식중독이란? 본문
정의
세계보건기구(WHO)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되었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규정
집단식중독은 식품 섭취로 인하여 2인 이상의 사람에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일으킨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
1.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1) 세균성
- 독소형 : 황색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제스 등
- 감염형 :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균, 병원성 대장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등
2) 바이러스성
- 공기, 접촉, 물 등의 경로에 의한 전염 :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등
2.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1) 자연독
- 동물성 자연독 : 복어독, 시가테라독
- 식물성 자연독 : 감자독, 버섯독
- 곰팡이 독소 : 황변미독, 맥가독, 아플라톡신 등
2) 인공화합물
- 고의 or 오용물 첨가 : 식품첨가물
- 잔류, 혼입되는 유해물질 : 잔류 농약, 유해성 금속물질
- 제조, 가공, 저장 중 생성된 유해물질 : 니트로소아민
- 기타 물질에 의한 중독 : 메타올 등
- 조리기구, 포장에 의한 중독 : 녹청(구리), 납 등
증상
1. 소화기 증상
- 구토
- 설사
2. 전신 증상
- 소화기 증상
- 전신 발열
- 신경 마비
- 근육 경련
- 의식 장애
진단 및 검사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통해 식중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식중독 증상이 거의 유사하기에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음식물 섭취와 증상이 나타난 시간 간격으로 병원균에 의한 것인지, 독소로 인한 것인지 추측 가능합니다.
* 증상이 경미할 경우엔 원인균 진단 검사가 불필요
* 발열과 장염 증상이 심할 경우 세균 배양 검사 실시
치료
1. 구토,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 손실 보충
2. 전해질 불균형 교정을 위한 수액 공급
* 설사가 심한 상태에도 장에서 수분을 흡수하도록 수분 섭취를 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분 섭취가 불가능할 경우 정맥 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이 필요
생활습관 관리
- 모든 음식물은 익혀서 먹는다.
- 물은 반드시 끓여서 마신다.
- 조리한 식품을 실온에 두지 않는다.
- 날음식은 봉지에 싼 후 다른 음식과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칼, 도마는 교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분하여 사용한다.
- 상처난 부위에 육류, 어패류가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 항상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오염&감염 주의
- 구토물 or 분변에 의한 2차 감염 발생 주의
- 구토물 처리할 시 반드시 일회용 장갑 착용
- 오염된 표면은 염소계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여 감염 확산 방지
-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음식물 취급자는 완치 후 약 3일간 조리업무를 담당하지 않는다.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Main.do
'질환&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체중이 걱정이에요, 소아 비만이란? (0) | 2021.03.22 |
---|---|
심장이 혈액를 보내지 못한다?! 심부전이란? (0) | 2021.03.12 |
심부전이 발생할 수도? 심내막염이란? (0) | 2021.03.09 |
두 눈이 다른 곳을 본다? 사시란?? (0) | 2021.03.05 |
심장 내 여닫이 문이 고장나다? 심장 판막 질환이란?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