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그림자가 눈을 가려요, 망막박리란? 본문

질환&질병 정보

그림자가 눈을 가려요, 망막박리란?

Allbody 2021. 2. 16. 14:36
반응형

 

정의

망막박리는 시세포가 망막색소상피로부터 분리된 것을 말합니다.

 

 

 

종류

발생기전에 의해 열공 망막박리, 견인 망막박리, 삼출 망막박리의 세 가지로 나뉩니다.

 

열공망막박리

파열된 망막부분을 통해 유리체가 망막의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망막이 당겨져 찢어지며 망막열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하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열공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견인망막박리

당뇨망막병증, 증식유리체망막병증, 관통상, 미숙아망막병증 등에서 흔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된 유리체망막 섬유증식막이 망막을 견인하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삼출망막박리는 망막열공과 유리체망막 견인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망막박리는 망막 자체나 맥락막 및 망막색소상피의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망막 하액이 고여 발생하게 됩니다. 

 

 

위 세 가지 망막박리중 특히 열공 망막박리갑작스럽게 발생하여 빠른 수술을 시행해야 하는 질환으로 많은 주의를 요합니다. 

 

 

 

 

증상

열공망막박리로 인한 증상은 다음의 두 가지 단계로 요약됩니다. 

 

첫번째

뒤유리체박리로 인한 증상

1. 날파리증 : 시야에 떠다니는 거미줄, 실, 검은 점, 그림자 또는 검은 구름 등 시야장애가 나타나는 증상

2. 광시증 : 빛이 없는 어둠 속에서 빛을 느끼는 현상

 

 

두번째

망막박리의 발생에 의한 증상

커튼, 검은 구름, 또는 그림자 등이 가리는 것으로 표현되어 시야 장애가 나타납니다. 시야장애와 망막박리가 동반하여 황반부를 침범할 경우, 시력 저하 및 시야가 변형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황반부( 망막의 중심부, 시력의 90%를 담당)

 

 

 

 

진단 및 검사

시력손실과 망막박리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황반부를 침범하기 전 수술 시, 정상시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1. 문진

 - 자각증상을 확인( 발생시기, 빈도, 정도)

 - 광시증, 날파리증이 동반된 증상여부를 확인

 

 

2. 외안부(눈의 바깥쪽) 및 전안부(안구의 앞쪽)의 검사

 - 세극등 현미경을 통한 검사

 - 감염성 질환 검사

 - 결막의 반흔, 검구유착 or 공막 누름조각(silicone scleral exoplants)의 노출 관찰

 - 홍채 이상, 수정체 혼탁 or 위치 이상 확인

 - 구심성 동공장애 여부 확인

 

 

3. 안저 검사

 도상검안경사 및 세극등을 이용한 검사

 

- 망막 박리의 범위와 모양 확인

- 막망열공 여부확인

- 황반, 시신경유두 및 안저의 이상소견 기술

 

세극등 검사

 

안저 검사

 

 

 

4. 특수검사

1) 망막전위도검사

2) 초음파 검사

3) 시유발전위검사

4) 레이저간섭계

5) CT, MRI

 

 

치료

망막박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수술 외로 망막박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가 발생할 경우,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1. 망막박리를 예방하기 위한 망막열공의 치료

 

1) 냉응고술

국소마취 하에 망막열공 주변부를 얼리는 시술로 상처가 아물고 나면 망막박리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망막에 흉터를 남깁니다.

 

2) 장벽레이저광응고술

열공의 주위를 레이저로 유착시켜 장벽을 형성한다는 개념으로 망막박리를 예방하는 치료입니다.

 

 

 

2. 망막박리의 수술적 치료법

 

1) 공막 돌륭술 

안구의 외부에 실리콘 밴드를 조여 열공을 막는 방법입니다. 열공이 닫히고 나면, 망막 아래에 고여 있던 액체들이 모두 흡수되어 박리되었던 망막이 원래의 위치에 고정됩니다. 

 

2) 유리체 절제술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은 안구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유리체를 제거하고 열공을 막아 망막을 원위치 시키는 수술입니다. 수술 후 환자는 수일에서 수주 후 망막의 유착을 위해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최근 망막박리의 종류에 상관 없이 유리체 절제술(vitrectomy)을 많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3) 기체망막유착술 

한 개의 명확한 망막열공이 망막박리를 일으킨 경우 시행됩니다. 기체망막유착술은 안구 내에 커다란 가스방울을 주입하는 수술방법으로, 가스방울이 망막열공을 덮게 만들어 유착을 도모하는 방법입니다. 망막열공은 수일 이내에 닫히게 되고 망막하액은 흡수되어 망막이 완전히 재유착됩니다. 

 

 

위험요인

- 가족력

- 병력

- 망막열공

- 고도근시

- 망막 변성

- 뒤유리체 박리

- 무수정체눈

- 눈 외상

- 선천성 눈 이상

 

이러한 유발인자가 여러 개 겹칠수록 망막박리를 일으킬 위험성이 그만큼 커집니다.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