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세균 감염?! 비브리오 패혈증이란? 본문
정의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세균 감염에 의하여 급성 패혈증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원인 및 감염경로
1. 원인
1) 콜레라균
- 비브리오 콜레라 균에 의한 감염
- 심한 설사와 탈수
- 2급 법정감염병
2) 비브리오 파라헤모라이티쿠스균
- 위장관 질환
- 급성 세균성 장염과 식중독(설사, 구토)
3)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 피부 연조직 감염
- 급성 패혈증
- 3급 법정감염병
2. 감염경로
비콜레라 비브리오 균은 세계 각지의 연안 해수에 풍부히 존재합니다.
- 일반적으로 바닷물, 갯벌 또는 날로 된 또는 덜 익힌 어패류 섭취를 통해 발생합니다.
- 여름철 바닷물 온도 18℃ 이상일 경우, 기저질환자(만성 간질환자, 면역저하 환자 등)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 상처의 피부에 의한 균에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 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
- 16~14시간의 잠복기
- 복통
- 급성 발열
- 오한
- 혈압저하
- 구토
- 설사
- 권태
- 전신쇠약감
- 저혈압
* 증상이 나타나고 24시간 이내 특징적인 피부병변이 나타나며,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위중합니다.
- 하지에서 시작
- 발진, 부종 이후 수포를 형성하고 점점 범위 확대
- 괴사성 병변
*사망률 50~90%,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진단 및 치료
- 혈액검사
- 대변검사
- 피부병변의 체액검사
- 배양검사
배양에서 균이 자라서 보고(분리 및 동정)되기 전에 중증패혈증, 심각한 혈압 저하 및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질병이 매우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역학적 특성(면역저하 상태, 어패류 섭취, 바닷물 접촉 등)과 피부병변으로 비브리오 패혈증이 의심되면 신속하게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합니다.
빠르고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은 50%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저혈압이 발생하면 90% 이상으로 증가됩니다.
약물 치료
- 3세대 세팔로스포린
- 플로오로퀴놀론
- 테트라사이클린계
비약물 치료
- 괴사 조직 제거
- 근막절개술
- 사지 절단
패혈증으로 인한 심한 혈압 저하 등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 및 예방접종
적극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인한 치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특히 고위험군에서 5~11월 사이의 기간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위험군(간질환, 면역 저하)은 어패류 날 것을 피한다.
- 피부 상처가 있을 시 바닷물에 들어가는 것을 피한다
(노출될 경우 깨끗한 물과 비누로 씻어내야 합니다.)
- 여름철 어패류는 85℃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여 섭취
- 조개류는 껍질이 열린 후 5분이상 더 끓여서 섭취
- 조리도구를 깨끗히 소독해서 사용
신고 대상 및 방법
1.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2.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1) 환자: 비브리오 패혈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2) 의사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비브리오 패혈증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3.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검체(혈액, 대변, 소변, 직장도말, 구토물, 수포액, 조직)에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 분리 동정
4. 신고시기: 3급 법정감염병으로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 신고
5. 신고방법: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인터넷으로 신고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질환&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퉁퉁 부어요, 부종이란? (0) | 2021.02.24 |
---|---|
눈동자가 하얗다?! 백내장이란? (0) | 2021.02.22 |
황록색 콧물과 코막힘 현상, 만성 비염이란? (0) | 2021.02.17 |
그림자가 눈을 가려요, 망막박리란? (0) | 2021.02.16 |
어린 소아들의 호흡질환?! 세기관지염이란?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