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지방이 너무 많아요, 비만이란? 본문
정의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1) 체질량지수를 통한 비만의 정의
(1) 체질량지수(BMI): 몸무게(Kg) / 키의 제곱(㎡)
예시] 신장 170cm, 체중 70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 70kg/1.7㎡
*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
- 성인 비만 기준 : 25kg/㎡ 이상
- 1단계 비만 : 25~29.9kg/㎡
- 2단계 비만 : 30~34.9kg/㎡
- 3단계 비만 : 35kg/㎡ 이상 (고도 비만)
2) 복부비만의 진단 기준
*허리둘레 측정 방법
- 양발을 편하게 벌리고 서서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
- 갈비뼈 가장 아랫부분과 골반 가장 윗부분의 중간에서 측정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암
- 체중 증가는 암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
- 체질량지수가 커질수록 암 발생율이 증가
2) 제 2형 당뇨병
- 1kg/m2 증가할 때마다 20%씩 발병률 증가
- 정상 체중에 비해 5~13배 발병률 상승
3) 이상지질혈증
- 혈중 중성지방 증가
-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상승
- 고밀도콜레스테롤(HDL) 감소
* 체중 3kg 감소 = 평균 중성지방 약 15mg/dL 감소
* 체중 5~8kg 감소 = 저밀도 콜레스테롤 약 5mg/dL 감소
4) 고혈압
- 정상 체중에 비해 남자 2.5배, 여자 4배 발병율 증가
- 비만이 동반된 환지일 경우 전체 체중 5~15% 감량 필요
* 전체 체중의 5% 감소 = 수축기 혈압 약 3~12mmHg 감소
5) 심뇌혈관질환
- 정상체중에 비해 관상동맥질환 발병률 약 50% 상승
- 정상체중에 비해 허혈성 뇌졸중 위험도 약 64% 상승
- 심박출량 증가, 전신 혈관 저항 감소
6) 천식
- 체질량지수가 높을 수록 천식 발생률 아동의 경우 2배, 성인의 경우 2.3배 증가
* 비만이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1) 기도저항성
2) 호흡패턴
3) 호흡운동
4) 가스교환
7) 근골격계 질환
- 골관절염
- 염증성 관절염
- 골다공증
- 신체적 기능 장애
* 골관절염의 경우 30kg/㎡ 이상인 비만은 무릎 골관절염 발생률이 약 4배 증가합니다.
8) 소화기계질환
- 지방간질환
- 간 내 염증
- 위식도역류질환
- 위산 역류
* 간 내 염증을 호전하기 위해 전체 체중 7~10% 이상의 감량이 필요
비만 치료 방법 선택
기본사항
- 음식 섭취 감소
- 활동량 증가
*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선 행동치료 6개월 이상 지속, 1년 이상의 기간 설정, 생활패턴, 목표 체중 설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적절한 병행된 방식으로 관리 해야 안전하게 체중 감량 및 유지가 가능합니다.
1) 식사요법
(1)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은 하루 섭취 열량을 줄여서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1주일에 0.5kg 정도의 체중을 줄일 수 있고, 비교적 안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이외에 저열량 식사요법이나 초저열량 식사요법 등이 있지만, 전해질, 무기질 등의 영양소 등의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3) 매일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양을 기록
(4) 알코올 섭취량이 많을수록 에너지 과다 섭취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5) 규칙적인 식사로 가급적 천천히 먹고, 자연식품을 조리해서 먹습니다.
3) 운동치료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1) 즐길 수 있는 운동(유산소 및 근력 운동)을 규칙적 할 수 있도록 계획
(2) 유산소 운동은 저중강도로 하루에 30~60분 실시하고, 주당 5회 이상 권장
(3) 근력 운동은 8~12회 반복할 수 있는 중량으로 1~2세트 실시하고, 주당 2회 권장
(4)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강도의 신체활동을 주당 200~300분 권장
4) 약물치료
심혈관계 합병증 or 무호흡증 동반된 경우 고려
(1) 장기간(1년 이상) 사용이 가능한 약물
- 오르리스타트(orlistat)
- 로르카세린(lorcaserin)
- 날트렉손-부프로피온(naltrexone-bupropion)
-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2) 단기간(12주 이내) 사용이 가능한 약물
- 펜터민(phentermine)
-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모든 비만 약물들은 부작용 및 금기사항이 있으므로, 약물 사용 시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5) 수술치료
*비만학회 진료지침
- 3단계 비만 or 2단계 비만 환자에서 비수술치료로 체중감량에 실패한 경우 고려
- 체중감량 및 감량된 체중 유지에 효과적
- 당뇨병 등 비만 동반 질환의 치유 또는 개선에 효과적
(1) 루와이 위우회술: 섭취제한형 + 흡수제한형
(2) 위(소매)절제술: 섭취제한형
(3) 위밴드 수술: 섭취제한형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변을 볼 수가 없어요, 변비란? (0) | 2021.02.25 |
---|---|
임신이 되지 않아요, 불임증이란? (0) | 2021.02.23 |
한 달에 한 번 하지 않아요, 무월경이란? (0) | 2021.02.18 |
항상 피곤해요, 만성피로증후군이란? (0) | 2021.02.13 |
두통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