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배변을 볼 수가 없어요, 변비란? 본문
정의
배변 횟수가 적거나 배변이 힘든 경우, 배변 활동이 3~4일에 한 번 미만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원인
1) 원발성 변비
- 대장통
- 서행성 변비
- 골반저 조율장애 (항문 주위 근육의 협조장애)로 인한 직장출구 폐쇄증
- 항문근 실조
- 항문경 or 강직석 골반
2) 이차적 변비
(1)전신질환에 의한 변비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2)중추신경 질환이나 장을 지배하는 신경의 이상에 의한 변비
-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척추의 외상
(3)대장, 직장, 항문, 골반저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한 변비
- 유아의 항문폐쇄증, 항문협착증, 대장암, 평활근의 병변(근병중, 근이영양증 등), 직장탈(rectocele), 골반저의 약화, 직장 내 점막의 탈출(intrarectal mucosal prolapse), 전직장벽의 탈출(full-thickness rectal prolapse), 고립성 직장궤양 증후군(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 변비를 일으키는 약제들 - 아편성분 진통제, 항경련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
* 변비를 일으키거나 조장시키는 정신적 질환들 - 우울증, 거식증 또는 대식증
진단 및 검사
1. 병력 청취
- 체중감소, 혈변, 복통 등 동반 증상과 이차적 변비 초래 가능한 질환 확인
- 대장통과 빈뇨, 김장성 요실 등 비뇨기 증상 확인
- 산과력, 과거력, 약물 복용, 식습관, 생활변화 그리고 심리적인 문제 확인
2. 신체 검진
- 복부 촉진을 통한 복부 팽만 검사
- 직장수지검사를 통한 잠혈, 분변 매복, 항문 협착, 직장 탈출 등 검사
- 직장 괄약근의 긴장 정도 미 비정상적인 회음부 강하의 유무 평가
3. 배변 기록
- 배변 횟수, 형태 기록
4. 혈액 검사
- 전신 질환 감별
5. 대장 통과 검사
-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객관적 증거를 얻기 위해 시행
-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 검사를 통한 장무력증 or 지연통과 검사
검사의 민감도를 올리기 위해 연속 3일간 24시간 간격으로 서로 다른 모양의 표지자를 복용하고 72, 96, 120시간 째에 X선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120시간 후에 네 개 이상의 표지자가 계속 남아 있으면 통과 속도가 느리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배변 조영술 (defecation proctography)
- 배변곤란, 배변통, 불완전 배변감, 배변시 항문 긴장 등이 있는 경우 시행
항문 직장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변비의 원인 및 진단 그리고 수술,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등 치료 평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치료
약물 치료
- 비약물적 치료 4~6주간 치료 했음에도 변비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할 경우 고려
1) 팽창성 하제(Bulk laxatives)
- 대변의 양을 늘리는 방법
- 식이성 섬유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적용
- 차전자씨, 메틸셀룰로우스, 폴리카보필 등 복용
2) 삼투성 하제
- 대장 운동을 자극하고 삼투작용을 증가시킵니다.
- 복용 후 2~3일 후 복부 팽만 및 방귀 현상이 나타남
- 락툴로오스, 락티톨 등 복용
3) 염류성 하제
- 삼투성 활성물질로 작용하여 대장 내 수분을 증가시킵니다.
- 마그네슘염 복용
* 신부전 환자 or 아동의 경우 고마그네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기에 주의
4) 자극성 하제
- 팽창성 하제, 삼투성 하제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사용
- 변비 환자들이 가장 많이 남용하는 약제
- 비사코딜, 센나, 알로에, 카스카라 등
* 약제에 의한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5) 관장약과 좌약(Enemas and suppositories)
- 약제를 직장으로 직접 삽입하여 부드럽게 대변을 유도하는 방법
- 대장 내시경 전 처치에 주로 사용
비약물 치료
1. 배변 습관과 생활 방식개선
- 변의(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생기면 곧바로 배변을 합니다.
- 변기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을 피합니다 (10분 이상 금지)
- 발 밑에 15cm 가량 발 받침대를 통해 고관절의 굴곡을 더하여 부드로운 배변을 유도합니다.
- 운동하여 활동량을 늘립니다.
2. 식습관 개선
- 식이 섬유 섭취
- 전곡류, 과일류, 채소류의 섭취를 늘립니다.
3. 행동 요법-바이오 피드백(Biofeedback) 훈련
- 생리적 과정을 기계적 장치를 통해 시각적, 청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배변 시 근육 운동의 문제점을 인식
- 배변근육의 수의적 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4. 수술
- 내과적 치료로 진전이 없을 경우, 항문직장 부위에 해부학적 변화가 있을 경우 적용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구적 시력 장애가 생길수도?! 시신경염이란? (0) | 2021.03.06 |
---|---|
잠자리가 두려워요, 발기부전이란? (1) | 2021.02.26 |
임신이 되지 않아요, 불임증이란? (0) | 2021.02.23 |
지방이 너무 많아요, 비만이란? (0) | 2021.02.21 |
한 달에 한 번 하지 않아요, 무월경이란?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