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능해부학 (11)
Allbody

뼈(Bone) 매우 역동적인 구조 [ 뼈모세포 : 미네날염 침착 조율 & 바탕질과 아교질을 지속적으로 합성 ] (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열일하고 있어요 ) 신체활동 & 호르몬의 영향으로 반응 풍부한 혈액공급을 통한 역동적인 대사작용 [ 외·내적 스트레스에 반응으로 일정하게 재형성, 골절 후 회복에 관여 ] ( 뼈는 몸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이란 큰 역할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 관절과 연루된 뼈 재형성 & 회복 & 재생에 대해 월등한 능력을 가짐 [ 긴 뼈의 끝부분은 체중지지면을 통해 여러방향에서 압박력을 받음 ] 힘의 전환 연골밑 뼈 -> 갯솜뼈 -> 치밀뼈의 긴 축 [ 뼈가 갖는 구조적 형태의 장점을 활용을 위한 힘의 방향을 전환 ] ( 이렇게 외부&내부의 힘을 흡수하고 전달합니다! ) 출처 뉴..

뼈(Bone) 뼈는 아주 특수화된 결합조직 ( 부러지면 안되니까~ ) 교차연결된 유형 I 아교질, 뼈모세포 그리고 바탕질로 구성 바탕질 내 프로테오글리칸 존재 [ 무기염을 강력하게 결합시키는 오스테오칼신을 포함 ] ( 무기염은 칼슘과 인이 풍부하여 단단, 오스테칼신은 무기염을 강하게 결합시키는 당단백질입니다 ) 뼈의 역할 인체를 단단하게 지지, 근육에 대한 지레 시스템 제공 ( 지레 시스템 앞에서 배웠지요~? ) 뼈의 구성(긴 뼈 기준) 바깥쪽 겉질 : 두껍고 단단한 치밀뼈(compact bone)가 덮고 있음 끝 부분 : 갯솜벼(cancellous or spongy bone), 그물구조, 얇은 치밀뼈가 덮음 * 척추뼈 몸통은 갯솜뼈를 중심으로 치밀뼈의 바깥쪽 껍질이 다른 곳보다 두꺼워요 출처 뉴만 ..

섬유연골(Fibrocartilage) 치밀결합조직과 관절연골의 혼합 탄성과 충격 흡수 & 장력을 제공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적인 관절운동형상학적 움직임을 안내 힘&부하 분산 보조 ( 여러 방향에서의 힘과 압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이유지요! ) 유형 I 아교질의 다발과 중간 정도의 프로테오글리칸 분포 [ 척추원반, 관절테두리, 두덩결합, 턱관절, 반달연골 등 원반을 형성 ] ( 힘줄 부착점에서도 발견됩니다~ ) 신경 분포가 적어 통증이 유발되거나 고유감각에 참여하지 않음 제한된 혈액공급으로 윤활액 & 인접 혈관으로부터 영양물질의 확산에 의존 ( 바깥 가장자리는 직접적인 혈액공급 받아요~ ) ( 가장 안쪽 영역은 치유가 빈약하거나 거의 일어나지 않죠ㅜ ) * 적절한 영양 공급의 결핍으로 부분적으로 퇴행하여 기..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관절의 부하 지지면을 형성하고 있는 특수화된 형태의 유리연골 ( 관절을 이루는 인체 부위에 덮혀 있는 연골 ) 관절연골에는 연골막, 혈관과 신경이 없습니다! [ 손상되면 재생되는게 매우 어려워요ㅜ ] [ 소중히 다뤄야 됩니다~ ] * 연골막이 조직을 유지하고 치유하는 원시세포가 존재하여, 신속한 영양 공급과 혈관을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 연골세포는 주로 유형 II 아교섬유들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이 섬유들은 연골밑 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프로테오글리칸 복합체를 잡고 있어 물을 끌어당기는데, 이러한 작용이 관절연골의 단단함을 제공하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 섬유들이 복잡하게 연결되고, 물을 머금고 있어 부하에 충분히 견딜 수..

치밀결합조직(Dense connective tissue) 물결 모양의 유형 I 아교섬유 비율이 높고, 장력에 저항하는 조직 ( 느슨하게 있다 최대 길이까지 가면 높은 장력을 제공! ) 불규칙성 & 규칙성로 분류 불규칙성 치밀결합조직 어깨관절 & 엉덩관절의 관절주머니 [ 나선형 특성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장력에 저항 ] ( 팔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여야되잖아~ ) 규칙성 치밀결합조직 인대와 힘줄 [ 서로 평행하게 정돈되어 평행하게 신장될 때 가장 효율적 기능을 함 ] ( 각 관절에서 과한 범위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서지요! ) ( 무릎 펼 때, 발등이 허벅지 때리면 무섭겠죠,,) * 힘줄은 근육과 붙어있는 뼈 사이에서 큰 장력을 전달! -> 높은 장력을 가하게 되면 힘줄도 길어지게 되는데 이 탄력적 특..

바탕질(Ground Substance)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물질로, 물을 함류한 기질 또는 겔 [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GAG), 물(water), 용질(soulte)로 구성 ]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AG) 바탕질에 물리적 탄성을 제공하는 반복 다당류의 큰 중합체 음전하를 띔 GAG는 프로테오글리칸 복합체가 강한 친수성 성질을 갖게 하여 자신 무게의 50배에 해당하는 물을 끌어당김 -> 바탕질 내 영양 확산을 위한 체액 매개체 기능 제공 수분 흡수를 통해 팽창된 조직은 바탕질 내 아교 섬유 등에 이의 제한됨 -> 내&외부의 압박에 저항할 수 있는 반유동성 팽창 구조 기능을 제공 관절면을 덮어 이상정인 관절면 덮개 기능을 제공하여 반복적인 힘들을 분산시켜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