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ody
잠자리가 두려워요, 발기부전이란? 본문
정의
발기부전이란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누리는데 충분한 발기를 얻지 못하거나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발기부전의 종류
1. 심인성 발기부전
생행위에 대한 불안, 긴장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서 등에 의한 발기부전
스트레스나 불안 수준이 높을 때에 동반되는 과도한 교감신경계 흥분이 혈중 카테콜아민 (catecholamine)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혈관을 수축시키고, 발기에 필요한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을 방해
2. 혈관인성 발기부전
1) 동맥성 발기부전
- 음경동맥 혈류의 장애로 인해 발생 (나이, 고혈압, 고지혈등, 당뇨, 비만, 흡연, 관상동맹경화증 등)
- 점진적으로 진행하여 강직도가 소실
2) 정맥 폐쇄부전성 발기부전
- 음경해면체의 정맥을 통한 과도한 혈류 유출로 인해 발생
- 페니로니 질환,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의 구조적 결함, 이완성 신경물질의 불충분한 분비 등
3. 신경인성 발기부전
- 신경혈관계의 장애나 질환으로 인한 발기부전 (중추신경계, 해면체신경, 외음부신경 등)
4. 내분비성 발기부전
-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분비량 저하
5. 대사증후군에 의한 발기부전
- 대사성 위험요인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발기조직을 포함한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과 혈류장애로 인해 발생
- 생식샘기능저하증 등
6. 약물 부작용에 의한 발기부전
- 고혈압치료제, 항우울제, 신경안정제 등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
- 중추 or 말초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들도 성기능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7. 의인성 및 기타 원인에 의한 발기부전
- 내&외과적 수술에 의한 발기관련 자율신경 및 혈관 구조물의 손상
ex) 전립선비대증 - 전립선절제술 / 방광암, 대장암, 직장암 - 골반강내 절제술 등
원인
과거에는 발기부전의 원인이 대부분 심인성이며 기질적인 원인은 단지 일부의 경우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오히려 기질적인 원인이 발기부전의 더욱더 흔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50세 이후의 연령층에서 뚜렷하며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련성이 빈번하게 보고됩니다.
발기부전 위험요소
- 당뇨
- 고혈압
- 비만
- 흡연
- 복부비만
- 음주 or 약물중독
- 관상동맥 혹은 말초혈관질환
- 스트레스 or 우울증 등
진단 및 검사
1. 병력
- 국제발기측정설문지(IIEF, 발기능, 절정감, 성적 욕구, 성교 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 심혈관계질환, 당뇨, 신부전, 신경질환, 정신질환 등 과거력
2. 신체검사 (Physical examination)
- 혈압
- 외성기의 형태와 발달
- 고환용적
- 면도 횟수(남성호르몬 결핍 유무)
- 신경생리학적 검사
- 전립선 크기와 경도
3. 검사실검사 (Laboratory test)
- 기초혈액검사
- 생화학검사
- 요검사
- 공복 시 혈당, 당화혈색소 (당뇨병)
- 콜레스테롤, 혈청지질 (고지혈증)
- 테스토스테론, 프로락틴, 갑상선자극호르몬 검사
4. 특수검사
1) 시청각 자극 혹은 수면 중 발기검사
- 성행위와 유사한 상황을 통한 성적 자극에 대한 발기능 측정
- 심인성 발기부전 진단에 용이함
- 비정상일 경우, 기질성 발기부전 or 수면장애, 우울증, 신경계 질환 등
2) 혈관계 검사
(1) 약물발기검사
- 혈관확장제 주입 후 양성 반응을 보일 시 심각한 정맥폐쇄기전 이상을 배제
but, 동맥질환과 경한 정맥폐쇄기전 이상을 배제할 수는 없는 진단적 한계
(2) 음경복합초음파검사
- 해면체동맥 평가에 용이
- 말기확장기 혈류 5cm/s 이상일 경우 정맥폐쇄기전 이상 의심 가능
(3) 내음부 동맥조영술 (Internal pudendal arteriography)
- 혈관재건술 고려 대상자에게 적용
- 혈관손상 의심이 될 때 전신적 혈관병리가 없는 환자에게 선택적 시행
(4) 음경해면체내압측정술 및 음경해면체조영술
- 정맥폐쇄기전 평가
- 혈관재건술 고려 대상 환자에게 선택적 시행
* 정상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최근 잘 시행하지 않음
3) 신경학적 검사
- 골반 신경 병변 검사
- 구해면체반사, 음부 유발반응, 요도괄약근 근전도검사
- 음경해면체 근전도 검사
치료
- 환자와 성파트너의 상담과 치료법의 단계적 적용
- 일차적으로 간단한 경구용 제제를 투여 이후, 반응이 없는 환자는 주사제를 처방
- 주사제에도 반응이 없는 심한 발기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도 고려
1. 환자와의 상담
- 성심리학적 이상 유무 확인
- 성파트너의 선호도와 치료법에 대한 기대, 경험, 판단 등 고려
2. 발기부전 위험인자 및 동반질환에 대한 치료
- 심혈관계 위험인자 치료를 통한 혈관 기능 향상
- 심혈관계 고위험군의 경우 안정화 될때가지 발기부전 치료&성행위 금지
약물 치료
1) PDE5 억제제
2) 해면체내 혈관이완제 주사
① 환자에게 4시간 이상 발기가 지속되는 음경지속발기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
② 지속발기증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 처치 계획이 수립
③ 교육을 통한 음경지속발기증이 발생하였을 때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여 해면체 손상을 최소화
3) 다른 약제들
(1) 남성호르몬 보충요법
(2) Trazodone, yohimbine, 알파차단제 및 다른 생약제제
4) 복합요법
- 남성호르몬보충 요법 + PDE5 억제제
- 음경진공흡입기 + PDE5 억제제
- 알파차단제 + PDE5 억제제
비약물 치료
1. 음경진공흡입기
- 의료용으로 제작된 기기만 사용
- 모든 원인의 발기부전 환자에게 사용 가능
- 음경에 냉감 or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출혈성 소인 or 항응고제 사용 환자 금지
2. 수술적 치료
1) 음경보형물 삽입술
- 보형물 종류, 감염과 미란의 가능성, 기계적 고장에 따른 재수술, 정상적 발기와의 차이점, 다른 치료법 효과 저하 등 정보 제공 필수
* 전신, 피부 or 요로계 감염이 있을 경우 금지
출처
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 후 겪는 심리 변화?! 산후 우울증이란? (0) | 2021.03.10 |
---|---|
영구적 시력 장애가 생길수도?! 시신경염이란? (0) | 2021.03.06 |
배변을 볼 수가 없어요, 변비란? (0) | 2021.02.25 |
임신이 되지 않아요, 불임증이란? (0) | 2021.02.23 |
지방이 너무 많아요, 비만이란? (0) | 2021.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