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강정보 (19)
Allbody

정의 - 출산 후 경험하게 되는 우울한 기분 - 산모의 약 10~20% 발병 - 일반적으로 산후 4주를 전후로 발병하나 수 일 이내 or 수개월 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약 85%의 여성이 출산 후 우울감을 경험하지만 대부분 자연소실됩니다 원인 - 뇌 신경전달 물질의 불균형 - 산전, 산후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 - 아이 양육으로 인한 피로, 수면장애, 충분하지 못한 휴식, 스트레스, 생활상의 변화 - 양육에 대한 걱정과 신체 변화로 인한 불안감 증상 - 의욕상실 - 심각한 기분 변화 - 불면증 - 논리적 사고의 어려움 - 식욕저하 - 성욕저하 - 우울감 - 초조함 - 컨디션 저하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서의 증상 - 아기의 건강, 사고발생에 대한 지나친 걱정 - 관심 상실 - 적대적이고 폭력적인 ..

정의 시신경 신경섬유의 일부 또는 전체에 염증 or 다른 병변으로 인해 신경섬유의 기능이상으로 통증과 함께 시력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종류 1) 유두염(Plapillitis) - 망막 중앙에 모인 둥근 시신경 유두 부근에 생긴 시신경염 2) 구후 시신경염(Retrobulbar neuritis) - 시신경의 뒤쪽 부분에서 염증이 발생 3) 신경 망막염(Reuroretinitis) - 유두염이 주위 망막에 파급된 경우 원인 - 1/3은 원인을 알수 없지만 젊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 1) 감염 or 감염 후 면역반응 - 결핵, 매독, 톡소플라즈마증, 바이러스성 질환, 부비동염, 안와 봉와직염, 예방접종 후 뇌막염 2) 탈수초성 질환 -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척수염, 미만성 경화증 3) 자가면역질환 -..

정의 발기부전이란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누리는데 충분한 발기를 얻지 못하거나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발기부전의 종류 1. 심인성 발기부전 생행위에 대한 불안, 긴장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서 등에 의한 발기부전 스트레스나 불안 수준이 높을 때에 동반되는 과도한 교감신경계 흥분이 혈중 카테콜아민 (catecholamine)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혈관을 수축시키고, 발기에 필요한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을 방해 2. 혈관인성 발기부전 1) 동맥성 발기부전 - 음경동맥 혈류의 장애로 인해 발생 (나이, 고혈압, 고지혈등, 당뇨, 비만, 흡연, 관상동맹경화증 등) - 점진적으로 진행하여 강직도가 소실 2) 정맥 폐쇄부전성 발기부전 - 음경해면체의 정맥을 통한 과도한 혈류 유출로 인해 발생 ..

정의 배변 횟수가 적거나 배변이 힘든 경우, 배변 활동이 3~4일에 한 번 미만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원인 1) 원발성 변비 - 대장통 - 서행성 변비 - 골반저 조율장애 (항문 주위 근육의 협조장애)로 인한 직장출구 폐쇄증 - 항문근 실조 - 항문경 or 강직석 골반 2) 이차적 변비 (1)전신질환에 의한 변비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2)중추신경 질환이나 장을 지배하는 신경의 이상에 의한 변비 -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척추의 외상 (3)대장, 직장, 항문, 골반저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한 변비 - 유아의 항문폐쇄증, 항문협착증, 대장암, 평활근의 병변(근병중, 근이영양증 등), 직장탈(rectocele), 골반저의 약화, 직장 내 점막의 탈출(i..

정의 약 1년간 피임 등 아무런 장애 없이 정상적인 성관계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이는 임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고 보통 난임(subfertility)의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종류 1차성 불임 : 과거에 한 번도 임신을 해 본 적이 없는 불임 2차성 불임 : 과거에 임신을 해 본 기왕력이 있으나, 그 후 임신이 되지 않는 불임 원인 여성측 원인 1) 난소요인(배란이상) 배란장애로, 난소에서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현상, 여성 불임의 약 40% 차지 (1) 조기난소부전(POF; Premature Ovarian Failure) (2)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3) 성선자극 호르분의 분비 ..

정의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1) 체질량지수를 통한 비만의 정의 (1) 체질량지수(BMI): 몸무게(Kg) / 키의 제곱(㎡) 예시] 신장 170cm, 체중 70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 70kg/1.7㎡ *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 - 성인 비만 기준 : 25kg/㎡ 이상 - 1단계 비만 : 25~29.9kg/㎡ - 2단계 비만 : 30~34.9kg/㎡ - 3단계 비만 : 35kg/㎡ 이상 (고도 비만) 2) 복부비만의 진단 기준 *허리둘레 측정 방법 - 양발을 편하게 벌리고 서서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 - 갈비뼈 가장 아랫부분과 골반 가장 윗부분의 중간에서 측정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암 - 체중 증가는 암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 - 체질량지수가 커질수..